국내 재계 5위 롯데그룹의 신동빈 회장(61)을 비롯한 수뇌부가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단서가 포착돼 검찰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의 ‘심장’인 본사와 신동빈 회장 집무실과 자택, 신격호(94) 총괄회장 집무실과 자택 등을 지난 10일 압수수색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최대 수혜기업으로 꼽히는 롯데그룹을 둘러싼 전방위 사정이 본격화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조재빈 부장검사)와 첨단범죄수사1부(손영배 부장검사)는 10일 오전 롯데그룹과 주요 계열사 등 17곳에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압수수색 대상 계열사는 지주사격인 호텔롯데와 롯데쇼핑(백화점ㆍ마트ㆍ시네마사업본부), 롯데홈쇼핑, 롯데정보통신, 롯데피에스넷, 대홍기획 등 6곳이다.
이들 계열사의 핵심 임원들 자택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검찰은 검사와 수사관 등 200여명을 이들 장소에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회계장부, 하도급 납품 계역서, 자산거래 내역 자료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그룹의 2인자로 통하는 이모(69) 롯데쇼핑 정책본부장(부회장)과 황모(62)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등 핵심 임원 여러 명을 출국 금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롯데 계열사 간 자산거래 과정에서의 배임 혐의, 횡령을 통한 비자금 조성 혐의 등이 중점 수사 대상”이라며 “장기간 내사를 통해 혐의와 관련된 상당한 분량의 첩보를 입수했다”고 광범위한 고강도 수사를 예고했다.
검찰은 수사 선상에 오른 임원들이 하청업체와의 거래 단가를 부풀려 되돌려 받는 수법 등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호텔롯데와 롯데쇼핑 등 핵심 계열사 간 수상한 자금 흐름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해당 자금이 롯데그룹 사주 일가로 흘러들어 갔는지 살펴보고 있다.검찰이 현재 의심하는 롯데그룹의 횡령ㆍ배임 규모는 수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수사 선상에 오른 롯데 임원들이 하청업체와 짜고 거래 단가를 부풀려 차액을 챙기는 수법으로 수백억 대의 비자금을 만든 구체적인 단서를 확보했다. 또, 롯데그룹 특유의 불투명한 지배구조로 국내에서 번 수익의 상당액이 일본으로 흘러가는 점도 주시하고 있다.
한편, 롯데는 이명박 정부 시절 제2롯데월드 인허가를 비롯해 부산 롯데월드 부지 용도 변경 추진, 맥주 사업 진출, 면세점 운영사업 수주 등 각종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