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책정한 예산으론 고작 20대만 바꿀 수 있어
배출 저감장치 지원도 부진
인천시의 경유버스 교체사업이 여전히 더디다.
정부의 미세먼지 특별대책의 하나로 모든 노선 경유버스를 단계적으로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교체키로 했음에도 관련 예산이 제때 세워지지 않으면서 사업 추진에 상당한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우려된다.
15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등록된 인천지역 시내버스 2천625대 중 경유버스는 340대가량이며, 서울 등 타 시도로 향하는 광역버스 323대 중 66대가 경유버스로 확인됐다.
앞서 서울시의 경유버스 진입제한 논란으로 촉발된 경유버스 교체 움직임은 정부의 합동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정부는 수도권 일대 미세먼지 발생원인의 29%가 경유차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고 모든 노선 경유버스를 친환경적인 CNG 버스로 단계적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그러나 관련 예산 수립 등 후속조치가 없다 보니 교체 움직임은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시가 올해 책정한 예산으로는 고작 20대의 경유버스만 하이브리드 버스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유버스 배출 저감장치 지원사업도 지지부진하다.
시는 2005년 이전 제작된 경유버스가 없다 보니 저공해사업 추진 대상이 아니라며 시내 경유버스 저감장치 부착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더구나 시는 준공영제에 포함되지 않은 광역버스에 대해서는 저감장치 부착을 권고하는데 그치고 있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원인은 지난 2014년부터 CNG버스 지원금이 끊긴 점이 크다. 정부와 시는 2001년부터 경유버스를 CNG버스로 전환할 경우 국·시비를 합쳐 2천만원가량을 지원해줬지만 2014년부터는 수도권 지역 보조금 지원을 중단한 탓에 그동안 경유버스 전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최근 기준 경유버스 가격은 1억원이며 CNG버스는 1억2천만원이다. 정부와 시가 차액을 보전해 교체를 유도해왔지만 일반CNG버스 지원이 끊겨 업체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경유버스 구입이 이전보다 늘어난 것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따라서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서는 경유버스를 줄일 수 있는 시의 정책적 투자가 선행되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시의 한 관계자는 “저감장치를 부착할 경우 의무적으로 2년 이상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를 교체하는 경우와 맞물려 당장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며 “내년부터 국비 지원이 재개되면 일반 CNG버스 교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