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 등 유럽연합(EU) 미가입 9개 국가들도 EU의 대북 제재 동참을 선언했다고 18일(이하 한국시각) 현지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EU 각료이사회는 최근 성명을 통해 EU 가입후보국인 구유고 연방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잠재적 가입후보국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국가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몰도바와 아르메니아 등이 EU의 대북 제재에 동조하기로 결정했다고 확인해줬다.
앞서 EFTA 4개국 중 하나인 스위스는 지난달 북한에 대한 독자 제재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EU에 가입하지 않은 서유럽 국가 4개국이 모두 대북 제재에 동참하게 됐다.
EU는 지난달 27일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에 따른 강력하고, 광범위한 추가 제재를 단행했다.
EU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대북 제재와는 별도로 대북 금수 품목 확대, 대북교역 관련 수출신용 전면 금지, 대북송금 및 금융서비스 규제 강화, 대북 투자 금지, 북한 소유·운영, 북한 승무원탑승 항공기·선박의 EU 영공통과·기착·기항 금지 등의 추가 제재를 부과했다.
EU의 대북한 제재는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에 담긴 모든 제재와 함께 EU 자체의 제재 조치를 포함하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사용되는 달러화와 물품의 유입을 전방위로 차단하는 고강도 대북 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EU는 안보리 결의안 채택 이틀 후인 3월 4일 북한 제재 대상 리스트에 유엔 제재 명단에 새로 들어간 개인 16명과 단체 12개 등을 추가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