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수ㆍ양혜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2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항암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 암환자 30명(평균나이 11.2세)과 건강한 소아청소년 30명(대조군) 등을 선정, 항암치료를 시작한 첫 1년 동안의 골밀도 변화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처럼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이 결과에 따르면 골밀도를 환자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 보정한 Z-score 수치를 분석한 결과 혈액암 환자에선 골밀도 Z-score 중앙값이 항암치료 시작 시점에는 0.7이었지만 1년째에는 –0.8까지 감소했고, 고형암 환자에서는 0.0이었던 골밀도 Z-score가 –0.7까지 낮아졌다.
혈액암 환자에선 치료 초반인 6개월 이내, 고형암 환자에선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골밀도가 더 큰 폭으로 줄어 항암치료 후 기간에 따라 암 유형별로 골밀도 감소 경향이 다르다는 점도 확인됐다.
최형수 교수는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완치와 장기 생존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합병증이나 만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골밀도 감소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장기 뼈 건강은 평생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만큼 골밀도 감소에 대한 예방과 조기진단, 치료방법에 대한 인식 제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앙혜란 교수는 “소아청소년 암환자에서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요법과 칼슘의 흡수를 도와 뼈를 강화하는 비타민D 보충 관리가 필수적이다. 현재는 소아청소년의 골밀도 검사가 연구목적으로만 가능한데, 소아청소년환자의 골밀도 검사를 건강보험급여항목에 포함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