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수ㆍ양혜란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소아청소년 암환자 항암치료 이후 골밀도 수치 낮아져”

p1.jpg
▲ 사진=소아청소년 암환자, 연합뉴스
소아청소년 암환자.

소아청소년 암환자들이 항암치료을 받으면 골밀도 수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형수ㆍ양혜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2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항암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 암환자 30명(평균나이 11.2세)과 건강한 소아청소년 30명(대조군) 등을 선정, 항암치료를 시작한 첫 1년 동안의 골밀도 변화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처럼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이 결과에 따르면 골밀도를 환자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 보정한 Z-score 수치를 분석한 결과 혈액암 환자에선 골밀도 Z-score 중앙값이 항암치료 시작 시점에는 0.7이었지만 1년째에는 –0.8까지 감소했고, 고형암 환자에서는 0.0이었던 골밀도 Z-score가 –0.7까지 낮아졌다.

혈액암 환자에선 치료 초반인 6개월 이내, 고형암 환자에선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골밀도가 더 큰 폭으로 줄어 항암치료 후 기간에 따라 암 유형별로 골밀도 감소 경향이 다르다는 점도 확인됐다.

최형수 교수는 “소아청소년 암환자의 완치와 장기 생존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합병증이나 만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골밀도 감소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장기 뼈 건강은 평생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만큼 골밀도 감소에 대한 예방과 조기진단, 치료방법에 대한 인식 제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앙혜란 교수는 “소아청소년 암환자에서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요법과 칼슘의 흡수를 도와 뼈를 강화하는 비타민D 보충 관리가 필수적이다. 현재는 소아청소년의 골밀도 검사가 연구목적으로만 가능한데, 소아청소년환자의 골밀도 검사를 건강보험급여항목에 포함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