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만 그루 나무심고 다량 배출시설 모니터링 등 전방위 추진
인천시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방위적 정책을 추진한다.
올해를 온실가스 감축 원년의 해로 선포한 시는 그동안 성과를 냈던 공공부문에 대한 감축을 확대하고, 국가기반시설 등 다량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 감축 분위기를 확산시킬 방침이라고 21일 밝혔다.
시는 3천만 그루 나무심기, 에너지 자립 섬, 생태산업단지 구축,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보급, 친환경자동차 구입 지원, 탄소포인트제 등을 추진해 공공부문 온실가스를 지속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11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를 통해 감축실적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지난 2011년, 2012년, 2014년 감축목표는 각각 3%, 7%, 10%였지만 실적은 6.7%, 13.6%, 15.2%였다. 특히 지난 2014년 감축목표는 12%였지만 실적은 17.9%로 6%p 가까이 목표를 초과했다. 이는 전국 평균 감축실적 15.1%보다 2.8%p 높은 수치다. 현재 정부 평가 중인 지난해 온실가스 감축 이행결과도 목표인 20%를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 시는 지난 2012년부터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해 현재 약 6만t의 초과 감축량을 확보한 상태다.
이같이 온실가스 감축의 기반이 마련된 만큼 시는 앞으로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노력을 더 강화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잉여배출권을 늘려나겠다는 판단이다.
지난해부터 정부에서 업체별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하고, 잔여·부족분을 사고파는 배출권 거래제가 올 하반기 본격화됨에 따른 선제 조치라는 것이 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시는 또 내년 상반기 중 인천기후변화센터를 설립해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 도시에 걸맞은 기후정책 수립과 연구 활동의 폭을 넓히고, 시민이 참여하는 탄소포인트제의 대상도 확대?시행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인천지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80%를 배출하고 있는 발전소, 공항, 항만 등 국가기반시설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협력을 통해 감축 분위기를 확산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이들 국가기반시설은 정부의 관리를 받고 있어 권한이 없는 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이들 시설이 탄소배출권 거래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를 기점으로 온실가스 감축 붐을 조성해 다양한 실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시민, 산업, 공공부문 협업 및 적극적 참여를 통해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