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22일 “격차해소를 위한 20대 국회의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국회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20대 국회 4년동안 매년 무슨 분야에서 어떤 격차를 해소시켜 나갈지, 여야가 함께 목표를 세우자”면서 국회의장이 앞장서 로드맵 마련에 여야가 동참하기를 촉구했다.
그는 “2016년 대한민국의 시대정신은 격차해소와 평화통일”이라며 “공공은 민간에 대한 기득권을, 재벌대기업은 하청업체에 대한 기득권을, 기성세대는 미래세대에 대한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안 대표는 “공존의 길을 찾지 않으면 공멸의 길에 들어선다”면서 “사법정의와 조세정의를 비롯해 정의가 무너진 사회에 미래와 희망도 없다. 고위공직자수사처를 포함한 제도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총선에서도 제시했던 미래일자리위원회 설치와 관련해 특위 설치를 다시 제안했다.
안 대표는 “4차 산업혁명은 우리에게 엄청난 도전이자 기회로, 국회가 과학기술혁명, 교육혁명, 창업혁명의 3대 혁명을 숙의해야 하는 이유”라면서 “국회가 나서야한다. ‘미래일자리특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위의 성격에 대해서는 “과학기술 역량을 어떻게 축적해야 하며, 교육을 어떻게 바꿔야 하며, 산업 부분과 노동 부분에서는 어떠한 구조개혁이 필요한지를 논의하는 장”이라면서 “인적자원과 국가예산을 어느 분야에 어느 정도 투입해야 하느냐에 대한 중장기 가이드라인을 만들어내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복지 문제와 증세 문제에 대해서는 “20대 국회가 책임감을 가지고 ‘복지수준과 조세부담수준’을 다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안 대표는 국회 특권내려놓기와 관련, “국회의원 직에 부여됐던 혜택과 지원 중에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들은 주저 없이 내려놓아야 한다”면서 “국회의장께서 이를 위해 위원회를 구성해서 많은 국민들의 동의를 구할 수 있는 안을 만들어주실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