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주의보 대처법은 ‘외출 자제’뿐?

경기지역 6월 한달간 11회 발령
고령자·유아 호흡기 질환 유발
정부, 구체적인 지침 마련 시급

6월 한 달 동안 경기지역에서 총 11회의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정부가 말하는 대처법이라고는 ‘외출 자제’ 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구체적인 대처법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23일 환경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는 지난 2012년 9일(16회)에서 2013년 15일(26회), 2014년 16일(32회), 2015년 13일(27회)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도 6월 현재까지 7일(17회)이나 발령됐다.

 

특히 오존은 상공에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자동차 배기가스와 강한 햇빛으로 지상에서 형성되는 오존은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는 피해야 한다. 명준표 서울성모병원 교수는 “지상의 오존은 천식이나 기관지염, 폐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단기간 노출에도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급작스런 호흡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등 위험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국민에게 말하는 오존주의보 대처법은 ‘외출 자제’밖에 없는 실정이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오존주의보 때 어린이나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와 같은 민감군은 야외활동을 자제하라는 지침을 내린다. 그러나 야외 활동을 피하는 시간대나 불가피한 상황에서의 대처법은 명시하지 못하고 있다. 공단 관계자는 “구체적인 기준은 아직 없고 일상적인 표현”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오존주의보가 발령돼도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야외 활동은 계속되고 있다. 수원 M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학부모 S씨(42·여)는 “(수원시에 오존주의보가 내렸던 21일에도) 방과 후 몇몇 학생들이 축구 등을 하는 것을 목격했다”면서 “방과 시간 이후에는 자유롭게 운동하는 아이들을 통제할 방도가 없다”고 우려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정부가 오존에 대한 명확한 대처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강웅 한국외대 환경학과 교수는 “최근엔 미세먼지와 황사가 관심의 대상이었지, 오존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다”면서 “지상 오존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만큼 구체적인 대책을 고민하고 관심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오존주의보 때)구체적인 행동요령은 물론, 위험성을 홍보하기 위한 소책자 마련을 계획 중”이라면서 “질소 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오존 형성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줄여나가는 정책도 병행추진 하겠다”고 말했다.

권오석·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