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로 흘리는… 이상한 ‘하수정책’
市·경제청 “법정시설 아니다, 간이하수처리시설 증설 안돼”
상인들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포함안된 정책이 문제” 맞서
원정 처리비 등 예산도 없어… 초과유입 하수 수만톤 바다로
시 감사관실과 인천경제청은 “인천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을왕리해수욕장에 간이하수처리시설을 증설해선 안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주민들은 “연간 100만명이 찾는 국민관광지를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포함하지 않은 인천시의 하수정책이 더 문제다. 바다에 하수를 그대로 버리라는 거냐? ”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본보는 3회에 걸쳐 문제점과 대책을 짚어봤다. 편집자 주
인천시 감사관실은 지난 4월 연간 100만여명이 찾는 을왕리해수욕장의 간이하수처리시설 처리량 증설예산 5억원을 ‘예산낭비’라고 지적했다.
당시 감사를 담당한 관계자는 “현재 을왕리해수욕장에 마련된 하수간이처리시설은 하수도정비기본계획상의 법정시설이 아니다”며“을왕리해수욕장은 하수도 기본계획 대상지역이 아니다보니 상인들이 하수도요금도 내지 않으며, 하수도요금을 내는 시민들과 형평성을 고려해 시설증설까지는 해줄 필요가 없다는 취지의 감사결과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청은 증설공사(기존 850t→1천150t)를 백지화시키고 공사비 5억원을 집행하지 않기로 했다. 간이하수처리장의 노후기계수리비 등 23억여원은 올해 투입키로 했다.
그결과, 인천경제청은 을왕리해수욕장에서 발생하는 평소 주말의 1일 초과유입 하수 300~400t(연간 2만t 추산)과 올해 여름성수기(7.15~9.30)에 발생하는 1일 440t 내외(75일간 3만t추산)의 초과유입하수는 탱크로리를 이용해 15㎞ 떨어진 운북동 하수처리장으로 계속 운반처리 해야 한다.
여름성수기를 포함해 연중 제대로 초과유입하수를 정상적으로 처리한다면 향후 5~6년간 연간운반비 3억5천만원, 하수처리장 연간이용료 4천여만원씩 총 20억여원이 들 전망이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꼴이 됐다.
그런데 이해 못할 면이 발견된다. 인천경제청과 중구청은 연중 여름철 30여일을 제외하곤 탱크로리 운반비용과 운북하수처리장의 처리비용을 예산에 책정하지 않고 있다. 향후 계획도 없다. 시설증설은 이미 백지화됐는데도 후속 대책이 전혀 없다.
실제로 인천경제청과 중구청은 지난해 7월중순~8월중순 까지 1개월 동안 을왕리해수욕장 초과유입하수 1만3천600t만 처리했다. 운반비는 9천500만원을 썼다. 운북하수처리장에 내는 처리비용은 1천600만원을 집행하는데 그쳤다. 나머지 초과유입하수 수만톤은 그냥 바다로 흘려보낸 것이다.
시감사실과 인천경제청은 “인천도시공사가 추진중인 ‘용유 노을빛타운 민간참여 공동사업’이 향후 5~6년 후 완공되면, 그때 노을빛타운의 정규 하수처리장을 을왕리해수욕장의 관로와 연결해 사용토록 해 주겠다”고 밝힌다.
을왕리해수욕장 상인들은 “연중 발생하는 초과유입하수 5만여t 중 여름철 1만3천여t만 처리하고, 나머지는 인천경제청이 바다에 그냥 흘려보내고 있는데 전혀 잘못된 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