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노선 운행 업체 “반대” vs 경영난 업체 “일반버스까지 확대를”
남경필 경기지사가 발표한 ‘광역버스준공영제’에 대해 도내 버스업체들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기존 수익성이 높으 노선을 운영하고 있는 버스업체는 준공영제 도입을 반대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노선 운영이 많은 업체는 적용 범위를 확대해 줄 것을 주장하고 있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남경필 경기지사는 지난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도내 광역버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내년 7월부터 광역버스준공영제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광역버스준공영제는 버스업체의 적정수입을 도가 보장해주는 대신 노선변경이나 신설, 증차 등 관리 권한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도는 직행좌석형, 좌석형, 일반형으로 구분되는 버스 가운데 직행좌석형(광역버스)에 대해서 준공영제를 우선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남 지사의 이 같은 추진계획이 발표되자 도내 버스업체들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A업체는 “버스업체와 사전 협의도 없이 버스준공영제 도입을 발표한 것은 잘못”이라며 “직행좌석형 버스의 경우 수익성이 높은 데 도가 돈 되는 부분만 가져가고 나머지는 업체에서 맡으라는 상황이다. 도에서도 수익이 괜찮으니까 우선적으로 해보겠다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반면 B업체는 “버스준공영제에 대해서는 찬성”이라면서도 “일시적이라지만 광역버스(직행좌석형)에 대해서만 버스준공영제를 도입하면 혼란이 발생할 것이다. 혼란을 없애기 위해 준공영제 적용 범위를 일반버스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타 시ㆍ군 사례를 볼 때 수익성이 높은 업체는 반발, 수익성이 떨어지는 업체는 도입에 찬성하는 것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버스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