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비서 채용 비위가 계속 드러나고 있다. 서영교 의원(더불어민주당)만의 얘기가 아니었다. 박인숙ㆍ김명연 의원(새누리당)과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도 친ㆍ인척을 비서로 채용했다가 들통났다. 서 의원을 맹비난하던 새누리당이 우스운 꼴이 됐다. “특권과 반칙에 대해 국민의 실망과 배신감이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이라던 성명서가 그대로 부메랑이 됐다. 안 의원의 비위가 추가로 확인됐으니 더불어민주당이라고 나을 게 없다.
지금 드러난 비위는 두 가지다. 친ㆍ인척을 비서에 취직시키는 행위가 하나고, 비서에게 정기적으로 돈을 상납받는 게 나머지 하나다. 첫째 비위가 나쁜 것은 국가직 일자리를 가족이 독식한다는 점이다. 국회의원 한 명을 연결고리로 집안 전체가 국민 혈세를 뜯어 먹는 행위다. 두 번째 비위가 나쁜 것은 갑질이다. 비서의 채용권한은 전적으로 의원이 쥐고 있다. 그 인사권을 악용한 착취다. 일반 회사였다면 당장 고발됐을 고용자 횡포다.
이제 관심은 이런 비서 채용 비위가 얼마나 만연해 있는가다. 우리는 이 점에서 28일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의 발언을 주목한다. 하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 전원을 자체 조사해서 자를 것은 자르고 밝힐 것은 밝히고 우리 당은 다시 태어난다고 보여줄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다. 이 발언에 지도부가 나서 ‘우리도 있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새누리당 소속 의원 2명의 가족 채용 논란이 언론에 폭로됐다.
상황이 이쯤에 이르면 정치권 전체가 고해성사를 고민해야 하는 것 아닌가. 가족을 채용하고 비서 월급을 상납받는 것은 우리 정치의 관행 아닌 관행이다. 부족한 의원 활동비를 충당하려면 어쩔 수 없이 쓰는 편법이라는 변명까지 있었다. 심지어 그런 의원이 누구이며, 그런 비서가 누구라는 정보까지 지역 정가에 파다하게 나돌 정도였다. 해당 의원들이 서 의원에서 시작된 이번 논란을 보며 얼마나 숨죽이고 있을지 짐작이 간다.
우리의 주장은 전수(全數) 조사다. 양식 있는 해당 의원들의 자진 공개다. 당 차원의 일제 조사도 필요하다. 그 후에 취할 행동은 실태 공개다. 스스로 조사한 소속 의원들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공개해야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국민에 용서를 구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 이는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와는 또 다르다. 국회의원의 범죄행위를 근절하는 것보다 중대한 일이다. ‘제도적 보완책 마련’ 운운하며 어물쩍 넘어가려 하지 마라.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