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5일 비경제분야 대정부질문이 여야 의원들 사이의 격렬한 충돌로 오전 한때 정회하는 등 파행을 겪다 오후 들어 3시간여 만에 속개됐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정회 중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을 만나 파행의 원인을 제공한 의원의 공개사과 등에 합의했다.
김동철 국민의당 의원은 이장우 의원 등 여당 의원들과 오전 질의 순서를 통해 고성을 주고받다 결국 정회를 불러오자 질의석에서 “이유야 어찌 됐든 저로 인해 국회가 정회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 (이장우 의원 지역구인) 대전 시민을 거론하는 등 부적절한 표현을 한 것에도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동료 의원의 발언에 대해 아무리 내용이 거슬린다고 해도 야유를 하거나, 이로 인해 발언을 방해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오늘로써 그런 잘못된 관행이 해소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사회를 맡은 심재철 국회부의장은 “개인의 입장과 다른 의견이 나오더라도 경청해주시기 바란다. 질문하는 의원께서도 동료 의원들에 대한 예의를 지켜달라. 새로 출발하는 20대 국회는 상호존중의 정치문화를 기반으로 품격있는 국회가 될 수 있도록 다같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김 의원은 이날 오전 질의에 나서 본회의장에 앉은 이장우 의원이 자신의 발언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자 강력 반발했고, 이 의원도 지지 않고 맞대응하면서 질의는 중단되고 두 사람 사이에 고성이 오고 갔다.
김 의원은 이 의원을 언급, “어떻게 대전 시민은 이런 사람을 국회의원이라고 뽑아 놨나”라고 말했다.
이에 여야 3당 원내수석부대표에 이어 원내대표까지 의장석으로 올라와 중재에 나섰지만 여야 의원 여러명이 계속 고성을 주고받는 등 충돌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고, 결국 사회를 맡은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본회의 시작 1시간40분여 만에 정회를 선포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