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는 지난달 27일 미래창조과학부의 ‘사물인터넷(IoT) 융·복합 시범단지 공모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 전담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측과 사업추진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의 전체 협약기간은 올해 6월부터 내년 12월까지며, 시는 지난 6월 2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어 그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측과 사업계획 및 협약내용 등을 조율해왔다.
고양시는 사업의 과제명을 ‘고양시 사물인터넷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사업’으로 확정짓고 올 연말까지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활용해 안전, 교통, 환경 등 도시현안 문제해결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융·복합 서비스를 발굴, 개발할 예정이다.
고양시는 본 사업유치를 위해 LG유플러스,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타이드인스티튜드 등 총 8개 기업 및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번 협약과 사업계획에 따라 2016년부터 총 34억5천여 만원이 투입돼 호수공원, 호수공원 인근 버스 정류장, 바이오매스폐기물 처리장, 시립어린이집 등 주요 서비스 실증지역에서 안전, 환경, 교통 분야의 3개 실증 서비스가 개발돼 서비스될 예정이다.
또한 일산동구 장항동에는 서비스 실증지원센터를 구축해 개발된 서비스의 모니터링과 누적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발굴, 사물인터넷 관련기업에 대한 창업지원, 각종 규제 및 법제도 개선 등도 함께 추진된다.
3개 실증 서비스 분야 중 환경 분야는 시범단지 내에서 각종 센서를 활용한 미세먼지, 수질, 매연, 소음 등의 실시간 측정과 측정된 정보가 시민들에게 제공 가능하도록 서비스 개발이 이뤄진다.
안전 분야는 호수공원 산책로에 동작감시 센서와 원격제어 기능 등을 갖춘 ’지능형 지킴이 가로등’을 설치해 기존 CCTV의 야간 음영지역 해소와 범죄예방 및 시민안전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교통 분야는 호수공원 인근 스쿨존과 대형병원 인접지역의 불법주차 문제해소와 아동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우리 동네 주차안내 서비스’를 개발한다.
시 관계자는 “개발 서비스와 관련해 확보되는 모든 공공데이터는 web과 App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민과 공유되어 시민생활 속에 사물인터넷이 도입된다”며 “축적된 빅데이터를 통해 시민과의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해 정책개발의 효용성이 높아지며 무엇보다 시민의 삶의 질과 안전이 개선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