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요격고도 이하… 北 방사포 6천여문 어떻게 잡나

한반도에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결정된 가운데 북한의 6천여 문의 방사포를 어떻게 무력화 시킬지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이 실전 배치한 122㎜·240㎜ 방사포에 이어 최근 개발한 300㎜ 신형 방사포는 사드의 요격고도(40~150㎞) 이하로 비행, 사드로 대응할 수 없는 무기체계이기때문이다.

 

사드는 고도 40㎞ 이상의 스커드-B(사정 300㎞), 100㎞ 이상의 스커드-C(500㎞)·스커드-ER(1천㎞)을 비롯한 고도 150㎞ 이상의 노동(1천300㎞)·무수단(3천~4천㎞) 미사일을 요격할 때 동원되는 무기이다. 북한은 1천여 기의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고, 이 가운데 85% 이상이 남한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그러나 탄도미사일 수량의 6배에 달하는 방사포를 유사시 짧은 순간에 무력화시킬 수단이 아직 마땅치 않다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북한은 지난 2014년부터 최전방 연대급 부대에 신형 122㎜ 방사포를 배치하기 시작해 최근까지 300여 문을 추가로 배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22㎜ 방사포는 발사관이 30개와 40개 두 종류가 있으며, 30개를 기준으로 보면 300여 문을 동시에 발사했을 때 9천여 발이 남측으로 떨어진다. 방사포와 장사정포를 조기에 제압하지 못하면 수도권 지역의 물적, 인적 피해가 심각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군은 동굴이나 지하시설에 은닉된 북한 장사정포가 밖으로 나와 구체적인 포격 움직임을 드러낼 경우 240mm 방사포는 6분 이내, 170mm는 11분 이내에 격파가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특히, 전쟁 발발시 수도권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는 장사정포는 1시간 또는 1시간30분 내에 제압할 수 있으며, 초전 4∼5일내에 전체 장사정포의 70%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장담하고 있다. 하지만 군사 전문가들은 군의 이런 설명은 시뮬레이션 결과일 뿐이지 실전에서는 ‘선제타격’ 외에 효과적인 방법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의 사드배치보다 북한 최전방 지역에 조밀하게 깔린 장사정포와 방사포를 무력화시키는 수단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시급하다는 주장이 계속되는 것도 이런 현실감을 반영하고 있다. 군은 이런 우려를 반영해 북한 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하는 선제타격 무기체계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2018년까지 방사포, 자주포 등을 파괴하기 위한 ‘전술지대지유도무기’를 개발할 계획이며, 2019년부터 전력화될 이 유도무기는 사거리 120㎞로, 지하 수 미터까지 관통할 수 있고 엄청난 위력의 탄두를 갖출 계획이다.

 

최대 사거리가 80㎞에 달하는 차기 다연장로켓포(MLRS) ‘천무’와 300㎞ 지대지유도탄(에이테킴스)도 선제타격에 동원될 수 있는 무기로 꼽힌다. F-15K 전투기에 장착된 사거리 280km의 AGM-84, 사거리 105km의 AGM-142 공대지미사일과 사거리 24km의 GPS 유도폭탄(JDAM) 등도 자주포와 방사포를 무력화하는 데사용된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