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인공지능 딥러닝 전용칩 등 12개 미래기술 지원과제 선정

제목 없음-1 사본.jpg
포스텍 김재준 교수, 한국전기연구원 이상민 박사, 연세대 김도향 교수

삼성그룹은 11일 2016년도 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테마 지원과제로 스마트 기기를 위한 인공지능, 급속충전 전지, 기능성 외장소재 등 3개 분야에서 12개 과제를 선정해 발표했다.

 

분야별로 보면 우선 스마트기기를 위한 인공지능 테마에서는 별도의 서버 없이 스마트기기가 자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Deep Learning)’ 전용 칩 개발과제(대표 연구자 김재준 포스텍 교수) 등 6건이 선정됐다. 

급속충전 전지 분야에서는 새로운 복합계면반응 기반의 기능성 소재를 적용, 에너지밀도 손실 없이 급속충전을 구현하는 과제(대표 연구자 이상민 한국전기연구원 박사) 등 3건이, 기능성 외장소재 분야에서는 유연하면서도 외부 상처에 깨지지 않고 스스로 치유되는 신개념 금속 소재 연구(대표 연구자 김도향 연세대 교수) 등 3건이 선정됐다.

 

과제별로 보면 ‘딥러닝 칩 개발과제’는 실리콘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뇌 신경망의 구조와 동작방식을 본뜬 초저전력 하드웨어 가속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특히 클라우드나 서버에 구축된 딥러닝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도움 없이 기기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 인공지능ㆍIoT(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하드웨어 칩 플랫폼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급속충전 전지’는 충전 시간을 단축하면 용량과 수명이 급격히 감소되는 리튬이온전지의 문제를 해결해 10분 내에 80% 이상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 티타늄(Ti)계 금속 내부에 형상기억 합금을 분산한 ‘신개념 금속 소재’는 자연스런 질감은 유지하면서 외부상처에 스스로 치유되는 특성이 있어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IT 기기, 로봇 등 미래 디바이스에 확대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삼성은 기초과학ㆍ소재ㆍICT(정보통신기술) 3대 분야와 신기술ㆍ미래기술 분야 등 국가 미래과학기술 육성을 지원하고자 지난 2013년부터 10년간 총 1조 5천억원을 출연해 미래기술육성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