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 2년째 백령~인천 항로 운항 재개 추진

서해 5도 특별법 개정해 적자 보전 방안 검토

중단된 지 2년 된 백령~인천항로(백령출발 항로)가 재개될 전망이다.

 

인천시와 인천해양수산청, 옹진군 등은 서해5도 지원 특별법을 개정해 백령~인천 항로를 다시 운항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24일 밝혔다.

 

오전 8시 백령을 출발해 인천항을 오가던 백령~인천항로는 지난 2014년 운항이 중단됐다. 항로를 운영하던 우리고속훼리㈜는 적자누적과 경영악화를 이유로 2014년 휴업한 뒤 지난 2월 최종적으로 폐업했다.

 

백령~인천 항로는 백령도 주민과 군부대, 관광객 등 연간 7만명 가량이 이용했던 항로다. 운항이 중단된 뒤 백령도 주민들을 중심으로 백령~인천 항로를 재운항해달라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현재 백령 항로는 오전 인천항에서 출발하는 인천~백령항로 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도서민들은 육지에서 볼일을 보고 돌아가거나 군부대 군인들이 휴가나 외출, 복귀 등을 원활하게 하려면 백령~인천항로가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백령~인천항로가 수익을 내려면 최소 12만명 이상 여객이 있어야 하는데 연간 이용객이 7만명 수준이라 항로를 맡겠다고 나서는 선사가 없어 그동안 속수무책이었다.

 

그러다 최근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역 민원을 수용, 항로 재개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에 따라 시와 해수청, 옹진군 등은 서해5도 지원 특별법에 명시된 예산 지원 명목에 해상교통을 추가해 백령~인천 항로 적자 보전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우선 서해5도 지원 특별법을 주관하는 행정자치부와 협의해 옹진군이 ‘서해5도 종합발전 변경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용역은 오는 9월~10월께 완료된다. 최종 법 개정안은 인천지역 국회의원들과 논의를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법이 개정되면 백령~인천 항로 운영비용을 보전받을 수 있게 된다. 업계는 백령~인천 항로 고정비용을 7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운항 재개 문제가 간단히 풀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백령~인천 항로가 재개되면 현 인천~백령 항로 28만명 중 7만명 가량이 빠져나가니 인천~백령 항로 운영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인천~백령 항로를 운영하는 한 선사는 백령~인천 항로가 운항을 시작하면 인천~백령 항로 2개 노선 중 1개 노선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밖에도 운영적자 노선 사업자들이 형평성 논란을 제기할 가능성도 무시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 해수청 관계자는 “백령~인천 항로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인천시와 옹진군 등 관계기관이 공동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