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휠체어 매년 느는데… 충전소는 태부족

설치 장소도 찾기 힘들어 장애인 불편 
위치정보 앱 서비스 서울시와 대조
“보장구 보급·알림사업 동시 진행해야”

전동보장구를 이용하는 경기도 내 장애인들이 편의시설인 충전소가 부족한데다, 그나마 설치된 충전소 장소도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아 불편을 겪고 있다.

 

25일 도와 건보 경인지역본부,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등에 따르면 건강보험급여를 통해 전동보장구를 마련한 경인지역 이용자는 지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8천261건에 달한다. 연도별로는 2013년 1천361건, 2014년 1천471건, 2015년 1천846건으로 매해 증가하는 추세다.

 

장애인 S씨(56ㆍ여)는 25일 수원시 화서동의 한 아파트 앞 골목길을 오르다 전동휠체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낭패를 겪었다.주변 행인들의 도움을 받아 간신히 목적지까지 갈 수 있었지만, 10년 전 교통사고로 몸이 불편한 S씨에게는 외출의 두려움을 호소했다.

2012년에 구입한 전동휠체어의 배터리 소모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이동 가능거리가 줄어든 탓이지만, 이 일대 충전소를 알지 못해 위험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기도가 지난 2007년 5천6백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도내 복지관이나 보건소 등 141개소에 전동휠체어·스쿠터 충전소를 설치 사업을 진행했지만,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장애인 이용자들의 불만이다. 

더욱이 충전소가 어디에 설치돼 있는지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데다, 도뿐만 아니라 일선 시ㆍ군의 담당 공무원조차 이같은 충전소가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는 등 문제점을 드러냈다. 도 관계자는 “31개 시군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다 보니 현황파악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각 시군 및 시설에 공문을 보내어 2016년도 기준으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반해 서울시는 지난해 11월부터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서울맵’에서 지하철역사와 관공서, 복지관 등에 설치된 급속충전소 199개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충전소가 설치는 됐지만 위치를 모르는 시민들이 많아 이용에 불편을 겪어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율희 한국장애인개발원 연구원은 “충전소 유무는 장애인 이동권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전동보장구 보급사업 진행에 발맞춰 충전소 보급사업과 알림 사업도 함께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동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