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생(4~6학년생) 10명 가운데 4명은 일주일에 1시간도 운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경기도교육청 통계로 보는 교육정책(2016)’에 따르면 주당 운동시간이 1시간 미만인 도내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 4학년 42%, 5학년 42%, 초등학교 6학년 38%이다.
또 이들 학생들의 바깥놀이 활동시간은 미국 119분의 약 30%인 수준인 34분에 그치고 있다. 특히 직접 햇볕에 노출돼야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D 부족결핍률은 9∼11세 62.8%, 12∼14세 75.1%에 달한다.
이에 도교육청은 초등학생들의 놀이와 학습 간 균형이 필요하다고 판단, ▲놀이와 체육수업 연계 ▲유산소 중심 체육수업 운영 ▲체육수업 가급적 1교시 편성 ▲저체력 학생 대상 건강체력교실 운영 등 체육교육과정의 내실화를 꾀하는 ‘초등 놀이교육 활성화’ 정책을 하반기부터 추진한다.
도교육청은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전담교사 배치 시 체육전담교사를 우선 배치할 방침이며, 내년부터 3학년 이상 학급수 6학급 이상인 초교의 체육전담교사를 모든 학교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난달 화성 수기초교 등 도내 42개교를 ‘놀이교육 중심학교(체육교육 중심학교)’로 지정한 데 이어 내년엔 지정 학교를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스마트폰과 PC게임의 발달로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놀이교육은 학생들의 신체 건강은 물론 정신 건강과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