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같은 기간에 무더위를 피해 집안에만 있거나, 학원에만 매달려 있지는 않은가. 남은 여름방학 기간이라도 우리 아이의 소중한 추억을 위해, 진로를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경기도내 곳곳에서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캠핑부터 다양한 직업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직업체험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기다리고 있다.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자연놀이 캠핑스쿨’
도시 벗어나 캠핑·하이킹 다양한 체험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은 자연과 함께하는 ‘자연놀이 캠핑스쿨’을 개최한다. 오는 4~6일 2박3일 일정으로 연인산오토캠핑장에서 열리는 캠핑은 자연 속에서 즐기는 캠핑활동과 자연놀이를 통해 아웃도어 활동의 바른 이해와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캠프사이트 구축, 자연생태놀이, 공동체 활동, 연인산 하이킹 등 도시에서 체험하기 힘든 자연 체험을 할 수 있게 구성했다. 또 숲길지도사와 함께하는 하이킹, 조별 캠핑 요리대회 등 다양한 체험활동도 진행한다. 온 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레포츠캠프 ‘통(通)통(通)한 우리가족’도 준비했다.
오는 20~21일 1박2일간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일원에서 열리는 캠프에서는 래프팅, 서바이벌 등 레저스포츠를 비롯해 고석정과 제2땅굴, 평화전망대, 월정리역 등을 둘러보는 DMZ안보 견학을 할 수 있다. 여기에 냇가에서 물고기를 잡고, 캠프파이어에 감자와 옥수수를 구워먹는 재미는 덤이다. (문의 031-218-0485)
자유학기제 특별기획프로그램으로 ‘청소년 자녀와 함께하는 학부모 진로상담 아카데미’, 현직교사가 직접 직업체험을 해볼 수 있는 ‘현직교사 직업체험의 날 행사’, 청소년들의 미래역량을 강화하는 ‘미래진로캠프’ 등이 준비돼 있다. 아울러 가족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전문직업인(기자·앵커) 특강’과 특별전시회로 ‘축구영웅전’도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국내·외 유명 축구선수의 친필사인이 들어간 축구용품을 볼 수 있고, 아트사커 기네스북 기록보유자 허남진의 아트사커 시범과 축구해설가 이상윤의 특강도 진행된다. 사전예약 및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잡월드 홈페이지(www.koreajobworld.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1644-1333)
부천시청소년수련관, 진로교육 ‘꿈길에서’
자세한 일정은 1일차 자기에 대한 이해, 2일차 관점바꾸기 및 가치관 탐색, 3일차 홀랜드 간이 검사 및 해석, 4일차 진로 로드맵 및 직업워크체인으로 구성됐다.
특히 마지막 5일차에는 참가 청소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에 대한 이해와 학부모가 알아야 할 진로에 대한 인식을 전하는 시간으로 진행하며, 부모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도 준비했다. (문의 032-325-4300)
안산문화재단 ‘단원과 떠나는 인문학 여행’
강연은 하계훈 미술평론가의 ‘지중해를 따라서 가는 미술관 탐방’(3일) △손철주 미술평론가의 ‘단원과 옛 그림의 참된 맛’(10일) △홍영의 국민대 국사학과 교수의 ‘18세기 문화예술의 진원지, 안산’(17일) △이영란 미술저널리스트의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 뛰어난 미래 콘텐츠파워 되다!’(24일) △신세미 미술저널리스트의 ‘뉴스로 읽는 미술이야기-일상의 현대미술과 미술시장’(31일) 순으로 이어진다. (문의 031-481-4087)
1기에서는 집에서 직접 쓸 수 있는 접시를 만들어 보고 2기에서는 도판을 성형해서 아트월(art wall)을, 3기에서는 광주 백자의 특징을 알아보고 백자 흙을 이용한 화병을 만들고 조각해본다. 무료로 진행되는 4기에서는 장애우 어린이가 참여할 수 있는 ‘꾹꾹 흙놀이’와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함께 도자사를 배우고 가훈을 지을 예정이다.
이천 세라피아에서는 ‘토야★탐험대 예술놀이터’를 오는 11월까지 운영한다. 3세부터 12세의 어린이가 참여할 수 있는 ‘토야★탐험대 예술놀이터’는 17가지 도자 학습콘텐츠를 통해 미술에 대한 흥미를 기르고 오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체험 전시다. 전문가와 함께하는 물레빚기, 핸드페인팅 등을 해볼 수 있다. (문의 031-631-6501)
인천문화재단 ‘공연예술 워크숍’
워크숍은 공연예술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이 공연을 관람하는 것은 물론 자신이 직접 보고 싶은 공연, 만들고 싶은 공연에 대해 공연예술 전문가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기획하는 프로그램이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공연장의 무대 뒤, 음향, 조명, 무대 기계 등 공연에 필요한 시스템에 대한 설명부터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부터 한국 공연예술축제의 역사와 현장에 대한 ‘전문가 특별강의’까지 다양하고 알차게 구성돼 있다. (문의 032-455-7100)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