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정동영 의원이 성주군민 앞에서 말했다. “평화 통일이란 성주 참외를 왜관역에서 싣고 압록강을 건너 만주 땅에서도 팔고 시베리아에 파는 날을 만드는 게 국민의당의 평화통일 정책이다”. 군민들이 환호했다.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우리는 성주를 포함해 대한민국 땅 그 어디에도 사드가 배치돼선 안 된다고 확고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모두 발언에는 25차례나 군민의 박수가 쏟아졌다.
사드의 출발은 북한의 핵이다. 한두 발에도 남한 주요 지역이 불바다로 변할 무기다. 그 핵무기가 북한 무기고에 차곡차곡 쌓여가고 있다. 사드가 북핵 위협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가장 유효한 방어 기술임에 틀림없다. 사드를 반대하는 걸 뭐라 할 순 없다. 일부 시민단체도 반대하고, 성주 주민들은 더 반대한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달라야 한다. 원내 세 번째 정당이다. 대안을 함께 말해야 한다.
그런데 대안이 안 들린다. 성주군민에게 내려간 집단행동의 실체는 선동 이외 아무것도 아니었다. ‘성주 참외를 시베리아에 팔자’며 감성에 기댔고, ‘사드는 어디에도 안된다’며 거부감만 부추겼다. 그뿐만 아니다. 정 의원은 “북한이 미사일을 성산포대에 겨냥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과 러시아 미사일과 핵이 성주 성산포대를 겨냥해 배치될 것”이라고도 했다. 누가 봐도 성주주민을 전쟁의 공포로 몰아넣는 자극적 발언이다.
안 그래도 사드 정국을 핑계로 하는 반(反)국가적 언행이 곳곳에서 넘실댄다. 대한민국 교수와 전(前) 청와대 비서가 중국 언론에 ‘사드 반대’ 기고문을 싣기도 했다. 이런 주장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논리의 불균형이다. 즉, 사드 배치의 불합리성은 설명하면서 사드 배치의 원인은 외면하고 있다. 북핵을 말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국민의당이 꼭 그렇다. 대책 없이 반대만 하고 있다. 감성을 매달려 불안감만 키우고 있다.
국민의당의 성주방문은 당내에선 7월 중순부터 얘기됐었다. 그때마다 박 위원장은 ‘국회 차원에서 풀 것’을 강조하며 미뤄왔다. 모르긴 해도, 국회에서 풀겠다던 박 위원장의 소신에는 이유가 있었을 게다. 그러다가 갑자기 입장을 바꿔 성주를 방문했고 주민들을 선동했다. 국내 외에 사드와 관련된 사정변경이 목격되지 않는다. 그런데 국회에서 풀겠다는 뜻을 접고 현장을 찾아 선동했다. 우리는 그 이유가 궁금하다.
듣기에 1일 성주는 국민의당 전당대회를 방불케 했다고 한다. 국민의당과 소속 의원들에 대한 환호가 이어졌다고 한다. 혹여라도 국민의당이 이런 눈앞의 성취감을 택한 것이었나. 그랬다면 패착이다. 수권정당이 되고자 하는 공당(公黨)의 모습은 아니었다. 성주군민의 원성 속에도 “사드 배치 자체는 찬성”이라며 깊은 고민에 쌓여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원숙함을 배울 필요가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