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5만원권 화폐가 다 어디로 갔나” 올 상반기 환수율 50%에 그쳐…그럼 나머지는 과연?

O1.jpg
▲ 사진=올 상반기 환수율 50%에 그쳐, 연합뉴스
올 상반기 환수율 50%에 그쳐.

올해 상반기 5만원권 환수율이 50%대에 그쳐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6월 발행된 5만원권은 11조2천16억8천200만원이고 환수액은 5조6천820억1천800만원으로 환수율은 50.7%로 집계됐다.

환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중앙은행이 시중에 공급한 화폐량과 다시 돌아온 화폐량을 비교한 비율을 말한다.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 2014년 25.8%에서 지난해 40.1%로 오른 데 이어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다른 지폐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저조하다.

올해 상반기 1만원권 환수율은 111.2%이고, 5천원권(93.5%)과 1천원권(94.7%) 등도 90%를 훌쩍 넘겼다.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의 거래가 다른 지폐보다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5만원권 발행 잔액은 지난 6월말 현재 69조8천432억7천800만원으로 전체 지폐발행 잔액(89조1천276억1천400만원)의 78.4%를 차지한다.

올해 상반기에만 5만원권 발행 잔액은 5조5천196억6천500만원이나 늘었다.

한은은 지난 2014년 6월부터 금융기관의 5만원권 지급한도 관리를 중단하고 수요에 맞춰 충분하게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시중에 풀린 5만원권 지폐는 급증하고 있지만, 부작용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낮은 환수율을 감안할 때 화폐의 원활한 유통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사당국이 범죄현장을 적발할 때 5만원권이 무더기로 발견되는 사례들이 적지 않다.

허행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