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행정처분 위주의 어린이집 지도점검을 내년부터 컨설팅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9일 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부터 정기지도점검과 평가인증컨설팅 과정을 하나로 통합한 ‘보육컨설팅 제도’를 도입한다.
점검분야가 유사한 정기지도점검과 평가인증 준비과정을 하나로 엮어 지도점검 준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어린이집의 고충을 덜면서 지도점검을 효율화해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겠다는 게 골자이다.
도내 1만2천689개(2015년 말 기준)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도, 시ㆍ군 등 행정기관, 부모모니터링단, 평가인증기관 등으로부터 적게는 2회, 많게는 5회 이상 지도점검 등을 받고 있다.
이 가운데 정기지도점검과 평가인증은 70개 이상의 분야를 점검 또는 검증하기 때문에 수십 종에 달하는 서류 등 준비에만 3개월 이상 소요되고 있다. 이 밖에도 시설, 운영 등 특정분야를 집중해서 살피는 수시점검도 받아야 한다.
도는 보육컨설팅 제도가 도입되면 어린이집이 받아야할 지도점검(컨설팅, 평가인증 포함) 횟수가 3분의 1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는 컨설팅 중이라도 아동 학대, 보조금 부정수급, 아동 허위등록 등 중대한 위법사항을 발견했을 경우 엄격한 행정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도는 내년 보육컨설팅 전면 시행에 앞서 현장 발생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8~9월 부천, 과천, 양주 등 3개 시에서 우선 시범적으로 제도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도내 모든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시ㆍ군 공무원과 함께 제도를 정비하여 2017년 1월부터 전 시·군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어린이집 간 자율적 협력기틀 마련을 위해 우수 어린이집과 신규 어린이집을 멘토ㆍ멘티로 묶는 등 민간 협력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우미리 도 여성가족국장은 “경기도형 보육컨설팅을 통해 도내 어린이집의 부담을 줄이고 보육의 질은 높여 보육교사와 어린이가 함께 행복한 보육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