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저금리 기조까지 이어지면서 수익성이 높은 투자처를 찾는 금융 소비자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금을 빼돌리는 유사수신(정부의 인허가를 받지 않고 고수익을 미끼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돈을 끌어오는 행위)범죄도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예금보험공사의 ‘2016년 상반기 예금보험 및 부보금융회사 현황’에 따르면, 환매조건부채권(RP)과 주가연계증권(ELS) 등 투자성 비보호 금융상품의 발행잔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환매조건부채권,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를 포함한 주가연계증권의 발행잔액은 지난해 1분기 각각 96조6천억원, 58조4천억원에서 올해 1분기 108조7천억원, 66조1천억원으로 각각 늘어났다.
투자성 비보호 금융상품은 예금자의 원금이 투자 상황에 따라 보장받지 못하는 것으로 안정성은 보호 금융상품과 비교하면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제공한다.
이처럼 고수익 투자처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수익성을 미끼로 투자금을 빼돌리는 유사수신 범죄도 횡행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올 상반기 불법 사금융 피해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한 유사수신 관련 신고 건수는 298건으로 지난해 상반기(87건)보다 242.5%나 늘었다.
금감원에 신고되거나 수사가 통보된 유사수신 혐의업체는 서울(103개)에 가장 많았고, 경기지역(13개)이 두 번째로 많았다. 실제로 지난 3일 부천 오정경찰서는 투자금의 230%를 주겠다며 주부와 은퇴자 등을 속여 전국에서 총 1천500억원을 받아 가로챈 사기단을 적발한 바 있다.
김상록 금감원 불법금융 대응단 팀장은 “저금리 기조 속에서 마땅한 투자처가 없는 가운데 서민을 포함한 많은 금융 소비자가 유사수신혐의 업체의 ‘고수익’ 미끼에 현혹되고 있다”면서 “최근 2~3년 동안 사기 피해가 급증하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