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거주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내실있는 지원 필요하다는 주장 제기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원부서 통합과 실질적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수한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일 발표한 ‘인천 중국인 유학생 지원사업 내실화 방안’을 통해 시가 추진하는 유학생 지원 사업의 정책 변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지난해 기준 전국의 중국인 유학생 수는 모두 5만214명에 달하며 인천지역에는 956명의 중국인 유학생이 거주하고 있다. 인천지역 중국인 유학생은 지난 2011년 1천85명에 달했지만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한-중 FTA 체결 등의 여파로 중국과의 관계 확대가 중요하다보니 중국인 유학생이 대(對)중국 관계 개선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꼽혀 인천 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에서 중국인 유학생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체계적 정책 부재로 단순히 대학운영의 상업적 필요에 따른 무차별적 정책 추진으로 사업 추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한국사회와의 소통 부족으로 대다수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대한 문화적 매력을 느끼지 못하거나 심지어 차별과 편견으로 오히려 반한감정을 갖게되는 등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김 연구위원은 “인천시와 인천지역 공공기관에서 진행하는 중국인 유학생 지원사업을 보면 단순 생활정보나 인프라 지원사업이 전체의 50%를 넘는다”고 지적하며 “지역 안내 이외에도 유학생 적응단계에 따른 맞춤형 지원 등이 필요하며 내실있는 정책 집행을 위한 추진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 본청만 보면 다문화정책과, 중국협력담당관실, 대변인실 해외홍보팀 등 다양한 부서에서 중국인 유학생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부서별로 이원화된 지원사업을 총괄하거나 공동운영할 수 있는 사업공조 및 조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