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한일관계 미래지향적관계로 거듭나야"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한·일 관계도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새롭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 71주년 경축식에 참석, 경축사를 통해 “우리가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번영의 주역이라는 책임감을 갖고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능동적이고 호혜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작금의 국제정세, 특히 동북아 지역의 안보지형 변화는 우리에게 엄중한 대응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그 어느 때보다도 우리의 전략적 사고와 국가적 역량 결집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일본이 정부 예산 10억엔(약 109억 원)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화해·치유재단)에 신속히 출연하겠다고 밝히고, 북한의 위협 증대로 한·미·일 3국 안보 공조가 더욱 강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양국 간 미래 지향적 관계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대(對) 중국은 발언은 없었다. 하지만, 중국의 반발 등을 우려하는 사드(THAAD) 배치 반대여론을 겨냥해 “우리의 운명이 강대국들의 역학관계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피해의식과 비관적 사고를 떨쳐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막연한 기대가 아니라 냉철한 현실 인식에 바탕을 둔 선제적이고도 창의적인 사고”라면서 “이것이야말로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되는 시대정신이며, 71주년을 맞는 광복의 정신을 되살리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 땅의 평화는 물론, 민족의 장래를 위해서도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로부터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면서 필요하고 가능한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박 대통령은 “사드 배치 역시 북한의 무모한 도발로부터 우리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선택한 자위권적 조치였다”며 “국민의 생명이 달려있는 이런 문제는 결코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국가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방법이 있다면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북아 지역의 안보 문제에 대해서도 “우리의 운명이 강대국들의 역학관계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피해의식과 비관적 사고를 떨쳐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교육개혁과 관련해 “진정한 ‘기회의 사다리’가 될 수 있도록, 꿈과 끼를 길러주는 현장 중심의 교육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스펙이 아닌 개개인의 역량이 평가받는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면서 “어릴 때부터 가치관과 바른 역사의식을 갖고 각자의 재능을 찾아내 국가발전의 원동력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