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감기로 착각하기 쉬운 ‘바이러스 수막염’ 환자의 60%가 10세 미만 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2011년∼2015년)간 ‘바이러스 수막염’의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 전체 진료인원의 59.2%(9천605명)가 10세 미만으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진료인원은 연평균 약 1만 5천 명이다. 지난해에는 1만 6천180명이 바이러스 수막염으로 진료를 받았다.
총진료비는 점점 증가해 2015년에는 80억 2천968만 원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많았다. 이는 입원 진료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바이러스 수막염’ 진료인원 2명 중 1명은 10세 미만 아동이었으며 2015년에는 60%를 차지했다. 10대 17.0% > 30대 8.1% > 20대 6.3% 순으로 많았다.
진료인원을 월별로 살펴보면 7~9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1~2014년에는 7월에 환자수가 가장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환자수가 9월에 집중됐다.
‘바이러스 수막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뇌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무균성 뇌수막염이라고도 한다.
초기 증상은 발열, 구역, 두통 등으로 감기와 비슷하다. 건강한 사람은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나 열·두통·구토 증세가 지속되면 이를 완화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다.
‘세균성 수막염’은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간균, 수박구균 등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초기 증상은 ‘바이러스 수막염’과 비슷하지만, 증세가 급속도로 악화돼 심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 즉시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한다.
‘세균성 수막염’ 예방접종은 지난 2013년 3월부터 국가 필수 예방접종에 포함돼 생후 2개월에서 59개월 유아는 의사와 상의,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