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비행장 이전 속도낸다… 국방부, 후보지 선정 착수

화성·오산 등 6곳 대상… 김진표 “내달초부터 1차 협의 시작”
희망 지자체 없을 땐 적정평가 최고점 화성시 유력… 반발 예상

수원비행장 이전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방부가 수원비행장 이전 대상지 선정을 위해 다음 달 초에 경기도를 비롯한 수원, 화성, 오산시 등 6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본격 협의에 나설 예정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21일 국회 국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에 따르면 국방부 관계자는 지난 19일 김진표 국회의원 사무실에서 수원비행장 이전 문제 등에 대한 업무보고를 통해 9월 초에는 법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1차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방부가 검토작업을 마친 수원비행장 이전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그동안 수원비행장 이전지역 확보를 위해 공역, 장애물, 기상, 지형, 소음, 확장성, 토지이용, 지원시설, 접근성, 환경성 등 10개 기준을 바탕으로 배점을 평가한 결과 6곳을 이전 대상 적합지역으로 잠정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1차 협의에서 이전을 희망하는 지자체가 없을 때 대상지를 압축해 2차 협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어 2차 협의가 진행되면 국방부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배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화성시가 최우선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2차 협상이 시행될 경우 이전에 따른 지원을 대폭 늘리는 한편 이전 필요성에 대한 홍보도 강화하는 방안 등도 마련할 예정이다.

 

국방부의 이 같은 공론화된 협의에 나선 데에는 경북 성주군민들의 강력 반발로 사드 배치 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는 원인 가운데 하나도 사전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군 측은 그동안 공군 전력 강화를 위한 야간 훈련은 반드시 필요한데 현 수원비행장은 소음 때문에 야간훈련이 불가하고, 신형 전투기 등이 배치될 경우 소음 피해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을 들어 수원비행장 이전에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국방부측은 일각에서 제기된 화성·시화호 간척지에 이전 시 오산 비행장과의 비행 공역 및 안전 우려에 대해서도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현재 오산비행장과 수원비행장과의 거리는 17km이고, 활주로 방향도 오산비행장이 동서인 반면 수원 비행장은 남북으로 놓여져 있다”면서 “만약 화성으로 이전할 경우 새 활주로는 오산비행장과 같은 동서로 놓이게 됨에 따라 거리는 오히려 28km로 더 멀어지게 된다. 공역이 겹치는 부분도 기술적인 관제를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수원비행장 이전부지를 놓고 국방부와 경기도 내 지방자치단체 간 본격적인 협의가 이뤄지면 화성시 등 해당 지자체의 반발이 예상된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