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학들 전형료로 1천558억원 수입 거둬들여 "가이드라인 마련돼야"

오산 안민석(더) 사본.JPG
지난해 대학의 전형료 수입이 1천558억원에 달하면서 비싼 대학 전형료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28일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오산)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학년도 주요 대학 수시 입학전형료 현황’에 따르면 사립대는 국립대보다 상대적으로 비쌌으며, 비슷한 전형끼리도 학교마다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세대의 특기자 전형, EIC전형, 글로벌엘리트 학부 전형이 14만 5천원으로 가장 비싼 가운데 비슷한 전형인 성균관대의 글로벌인재 전형료는 6만원으로 큰 가격차를 보였다.

 

2015년 수시ㆍ정시 전형료 수입 현황을 살펴보면, 200여개 대학이 2015년 한해 동안 전형료로 수시모집에서 1천257억원, 정시모집에서 301억원을 받아 총 1천558억 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전형료 수입이 가장 많은 대학은 경희대로 약 64억원에 달했으며 중앙대 58억원, 고려대 56억원, 성균관대 54억원 순이었다.

 

현행 전형료 책정은 대학별로 자율에 맡겨져 있어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은 대학이 정한 전형료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실정으로, 대학이 전형료로 매년 큰 수입을 거두고 있음에도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전형료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안 의원은 “학생들에게 6번의 지원 기회가 주어지는 수시모집에서 전형료 부담이 만만치 않다”며 “대학들이 전형료 장사를 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학부모들 납득할 만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