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나고 헐렁… 승객 못지키는 광역버스 ‘안전벨트’

고속도로서 ‘착용 의무화’ 외치지만
노후차량·점검소홀 등 안전은 ‘뒷전’

하루에 수천명의 승객을 싣고 고속도로를 달리는 광역버스의 일부 승객용 안전벨트가 고장, 승객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고속도로 안전벨트 미착용은 과태료 부과대상임에도 법상 차량 정기점검은 고작 연 1회에 지나지 않으면서 벌어지는 일이다.

 

27일 오전 10시께 수원과 서울 잠실역을 오가는 1009번 버스 안은 주말을 맞아 서울로 향하는 수많은 승객으로 꽉 차 있었다. 이때 승객 Y씨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려 벨트를 잡아당겼으나 길게 늘어나기는커녕 꿈쩍도 하지 않았다. 

뻑뻑해진 안전벨트는 길이가 조절되지 않아 채우지 못했다. Y씨는 “(안전벨트 매라고)안내방송만 하지 말고 평상시에 관리를 잘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좌석의 안전벨트 역시 벨트를 끼우는 기계가 고장 나 넣고 빼기가 불가능해지면서 승객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같은날 오후 4시께 군포와 서울 신사역 구간을 운행하는 3030번 버스 내 한 좌석의 안전벨트도 작동은 가능했지만, 끈이 과도하게 헐렁거리는 등 안전벨트로서의 제 구실을 하지 못했다.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내 각 시·군에는 30개 버스업체가 서울 잠실역, 강남역, 사당역 등 153개 구간을 오가는 2천74대의 직행좌석형 버스를 운행 중이다. 이 중 현행법상 버스 연령(11년)에 다다른 일부 노후차량에서 의자나 안전벨트 등 크고 작은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관리·감독해야 하는 지자체는 사실상 손을 놓으면서 버스업체가 자체점검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 법상 정기점검도 연 1회밖에 되지 않아 평소 안전벨트 등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이에 대해 D업체 등 버스업체 관계자는 “주 1회 정기점검을 하지만 놓친 부분이 있거나 일부 차량에서 점검 직후 또 고장 난 것 같다”고 해명했다.

 

한편 김준년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교육센터교수는 “안전띠 미착용 좌석에 불이 들어오는 등의 시스템 사용을 권장 중이며 아예 시동이 걸리지 않는 기술 개발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진경·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