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골목 씽씽… ‘구급 오토바이’ 전무

구급차 보다 먼저 출동 응급조치 활동
인천지역 예산부족 이유 단 1대도 없어

인천지역에 소방 오토바이가 단 1대도 없어 신속한 출동을 위해 ‘법정 구급오토바이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일 홍철호 의원이(새·안전행정위원회)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전국에 배치된 구급오토바이는 22대로 모두 서울 지역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서울을 제외하고 인천을 비롯, 16개 시·도에 구급오토바이는 단 1대도 없는 셈이다.

 

현행 ‘소방력 기준에 관한 규칙’은 구급활동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구급대별로 1대 이상의 구급오토바이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며 구급오토바이 1대당 3교대 근무인력을 배치토록 규정하고 있다.

 

구급오토바이가 구급차와 함께 출동하더라도 현장에 우선 도착, 의식불명 상태의 환자에게 심폐소생술 등 1차적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부터 구급오토바이를 도입·운영 해오고 있지만 담당인력이나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인천지역에 구급오토바이 배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홍철호 의원은 “우리나라는 교통체증이 심하기 때문에 소방차나 구급차 등의 신속한 출동이 어렵다”며 “소방사무는 지자체가 관할하고 있지만 사람 생명에 관련된 응급의료인프라는 필요하다면 정부가 적극 나서 국비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인엽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