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산하 공공기관 또 건망증?
5월 남지사 직접 불매운동 동참 천명… 매점서 일제히 퇴출
지난 2일 도청·산하기관 매점 둘러보니 ‘데톨’ 등 당당히 진열
환경단체 “전시행정 반증”… 道 “판매 중단 재권고 하겠다”
5일 도에 따르면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인정된 전국 221명 가운데 경기도민이 70명에 이른다. 이에 따라 지난 5월 경기도는 “도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것을 철저히 막기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며 옥시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 선언을 하고 경기도와 도 산하 공공기관에서 옥시 제품 사용을 즉시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남경필 지사는 “이번 사건을 유해물질 규제 기준 미비, 집단소송이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부재 등 제도적 문제를 바로 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남 지사의 옥시 제품 불매 운동 동참 선언이후 도청과 도 산하기관 매점에서는 옥시 제품이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경기도가 옥시 제품 불매운동을 시작 후 약 4개월이 흐른 현재 경기도청을 포함해 각 도 산하 공공기관 매점에서 옥시 제품이 다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일 오후 3시께 찾아간 경기도청 매점에는 옥시 제품인 ‘데톨’ 손 세정제와 향균스프레이 등이 진열돼 있었다.
이날 도 산하 공공기관 매점의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경기연구원 등도 산하 기관의 매점에선 ‘데톨, 물먹는하마’ 등의 옥시 제품이 진열돼 있었으며 특히 한국나노기술원 매점은 옥시싹싹, 냄새먹는하마, 에어윅 등 그 종류가 5가지가 넘어 도 산하 기관 중 옥시 제품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옥시 불매운동을 진행 중인 경기환경운동연합의 관계자는 “대형 참사를 계기로 제도를 정비하겠다며 불매 운동에 동참한 남 지사가 ‘옥시 참사’를 진정성 있게 보고 있는 것인지 의구심이 들 정도”라며 “지금 상황에선 당시 불매운동 동참이 단순 인기 끌기용이 아니었나 싶다”며 비난했다.
A매점 주인(52ㆍ여)은 “특정 옥시 제품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 어쩔 수 없이 판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도청 및 도 산하 공공기관 매점에 대해 옥시 제품을 팔지 말도록 강제적으로 명령할 수 없지만 다시 한번 권고차원에서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