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대동여지도’ 시작은 창대했으나… 서비스 하세월

도민 재난안전정보 통합시스템 이달부터 서비스 계획 ‘물거품’ 사업발표 2년 넘도록 답보 상태
TF팀 구성·용역 줄줄이 지연 7월에야 행자부 사전협의 요청 사업자 선정 등 여전히 갈길 멀어

경기도가 재난 발생시 도민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추진한 ‘안전대동여지도’가 사업 발표이후 2년이 지나도록 시스템 개발에도 착수하지 못하는 등 사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도는 당초 이번달부터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었으나 사실상 연내 서비스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14년 10월 ‘넥스트 경기 안전’을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도민 스스로 재난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재난안전정보를 통합한 ‘안전대동여지도’를 제작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도는 ▲용역계획(2015년1~2월) ▲사업발주ㆍ계약(2015년2월) ▲수요조사분석ㆍ서비스기획(2015년3~8월) ▲데이터 확보 및 pilot 시스템 구현(2015년9~12월) ▲지도 기반 서비스 플랫폼 구축ㆍ연계(2016년이후) 등 추진 계획을 밝혔다.

특히 도는 재난발생 신고 접수 즉시 인근에 있는 사람들에게 재난내용과 대피요령을 알려주는 첨단 알림서비스인 ‘안전대동여지도’ 시스템을 개발해 9월부터 일부 핵심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안전대동여지도 사업 추진을 위한 T/F팀은 사업 발표이후 6개월이 지난 2015년 4월에 구성됐으며 사업 수행을 위한 연구용역은 당초 계획보다 1년이 지난 올해 3월30일 완료됐다. 도는 지난 4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7월초 행정자치부에 사전협의를 요청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 국민안전처의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심사 중 시스템 연계 및 중복성 부분에서 일부 보완ㆍ수정이 요청돼 협의가 더욱 늦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당초 계획인 올해안에 서비스 개시는 사실상 불가능해졌고, 조달청을 통한 사업자 선정과 시스템 개발까지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기도가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서비스라 사업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며 “시행착오를 줄이고 도민들께 완벽한 안전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남 지사는 지난 2014년 6·4지방선거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대동여지도 공약을 내걸었고 취임 이후에도 기회가 될 때마다 안전대동여지도 추진 의지를 거듭 밝혀왔다.

김광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