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6개 분야 정책협의체 운영

인천시의회가 ‘동북아시아 중심도시를 위한 정책협의체 발족식’을 갖고 저출산과 청년실업, 대중국 교류 등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 연구활동에 착수한다고 11일 밝혔다.

 

협의체는 그동안 시의회 의정활동으로는 국가 및 지역사회 현안과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분야별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6대 시의회에서 처음으로 발족하는 정책협의체는 저출산, 청년실업, 중국과의 인적·물적 교류, 문화·관광·체육의 생활화, 물류·항만·공항, 원도심 활성화 등 6개 분야 연구단체로 운영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시 실·국장과 시민단체, 학계, 체육계, 언론계 등 100여 명에 달하는 외부 인사들이 참여한다.

 

박영애(새누리·비례)·이영환(더민주·비례) 시의원이 담당하는 저출산 해결방안 연구회는 인천지역 저출산 문제의 원인과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시의 육아정책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보육정책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시민 3천명을 대상으로 한 저출산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한다. 또 산업기반 문제와 여성일터환경, 육아환경 개선사항을 필요한 대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한구(무·계양4)·홍정화(더민주·계양1) 시의원이 담당하는 청년실업분야 협의체는 전국에서 최고 수준인 인천지역 실업률 분석과 시가 추진하는 주요 청년정책 현황을 분석한다. 또 창업, 일자리, 문화예술 등 3개 분야의 청년지원 방안과 청년실업 해소, 주거 및 출산률 향상과 연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박승희 시의원(새누리·서구4)의 중국과의 인적·물적교류, 황흥구 시의원(새누리·남동)의 문화·관광·체육의 활성화, 김정헌 시의원(새누리·중구2)의 물류·항만·공항, 이영훈 시의원(새누리·남구)의 원도심 활성화 등 각각 담당 시의원의 분야별 정책 연구가 실시된다.

 

제갈원영 시의장은 “정책연구의 결과물이 시의 정책방향에 반영돼 300만 인천시민들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