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기초단체가 운영하는 직장운동경기부에 대한 인천시의 지원금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시는 12일 남동구 소래포구의 한 음식점에서 ‘2016년 3/4분기 군수·구청장 정례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군·구에서 운영하는 직장운동경기부 지원 등 시의 보조사업 재검토 결정에 따른 추가 지원 논의가 진행됐다.
현재 인천 10개 군·구는 모두 직장운동경기부(중구 펜싱, 동구 여자태권도, 남구 사격, 연수구 씨름, 남동구 여자육상, 부평구 볼링, 계양구 양궁, 서구 인라인스케이트, 강화군 태권도, 옹진군 카누)를 운영 중이며, 이에 따른 선수 및 임원은 79명에 달한다.
이들 직장운동경기부는 매년 열리는 전국체육대회에서 인천시 대표로 출전하고 있다. 그럼에도 시의 지원은 정액제로 매년 1억원에 불과해 선수단을 이끌어가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10개 군·구의 연간 직장운동경기부 운영비는 64억7천만원에 달하지만 시 지원이 10억원에 그치다보니 54억7천만원은 고스란히 해당 기초지자체가 부담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전국체전 등 대회 성적에 따른 선수연봉 인상과 우수성적 인센티브 부담을 각 군·구가 맡고 있어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는 형편이다. 이 와중에 시 지원금 자체가 끊기게 되면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이 소요되는 종목 전환 등 악순환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각 군·구의 주장이다.
이에 각 군·구는 직장운동경기부 운영비의 시 지원액을 군·구별 4억원으로 확대하거나 운영비 부담 비율을 7:3 매칭사업으로 전환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지난 7월 시 재정사업평가 자문위원회에서 시 지원사업 재검토 결정이 있기는 했지만 아직 지원중단이 결정된 것은 아니다”며 “해당 부서에서 전국의 직장운동경기부 지원 현황을 입수해 분석하는 등 적절한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각 군·구는 이날 회의를 통해 정부 시책으로 진행 중인 동복지 허브화 사업 추진과정에서 사회복지분야 공무원 수가 부족해 사업추진과 효과에 한계가 있다며 기초지자체 조직과 인력 증원을 시에 건의하고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차원에서 중앙부처에 적극 건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 어업지도선 운영비의 시비 지원, 여객선 운임지원사업 시비 보조율 유지 등 재정현안을 시에 건의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