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북한의 추가 도발로 한반도에 전쟁 위기 올 수도 있어"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북한은 추가 도발도 예고하고 있는데 이것은 한반도에 전쟁의 위험이 올 수 있고 각종 테러나 국지도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가 있다”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등 군사적 대응 능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등 여야 3당 대표들과 가진 회동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지금 우리는 과거와는 다른 매우 엄중한 안보상황에 처해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20대 국회 들어 이날 처음 진행된 박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 간 회동은 오후 2시 정각 시작돼 오후 3시55분까지 1시간55분 동안 진행됐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북한이 핵탄두를 탄도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도록 표준화·규격화했다고 공언했듯이 북한의 핵·미사일은 단순한 협박이나 협상용이 아니라 우리를 겨냥한 현실적이고 급박한 위협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이런 위협에 대처해서 미국의 핵우산을 포함해 모든 군사적 능력과 우리 군의 대북 응징능력을 강화해야 하겠다”며 “주한미군 사드 배치도 이러한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자위권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임을 다시 한 번 말씀 드린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이럴 때일수록 우리가 하나가 되고, 단단히 결속된 모습을 보일 때 국가와 국민의 안위가 빈틈없이 지켜질 수 있다”며 여야 3당 대표에게 초당적 협조를 당부했다.

반면 더민주 추 대표와 국민의당 박 비대위원장은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과 한목소리로 규탄하면서도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제재와 대화를 병행해야 한다”며 온도차를 보였다.

 

야권의 사드 배치 국회 비준에 대해 박 대통령은 “사드는 군사적으로 효용이 입증된 체계로, 국회 비준 사안이 아니다”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으며 추 대표의 대북특사 주문에 대해서도 “지금 대화를 하는 것은 북한에 시간벌기만 된다”며 반대했다.

 

경제문제와 관련해서 박 대통령은 “아직 경기회복의 탄력이 충분하지 못하다”면서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마음가짐으로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산업·기업 구조조정 등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국민들의 체감경기가 나아지고 우리 경제의 체질도 개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