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인공증우 등 신기술을 활용해 미세먼지 잡기에 나선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018년까지 약 21억 원을 투자해 서해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인공증우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인공증우란 구름에 인위적으로 영향을 줘 비를 내리게 하는 방법으로 예전에는 인공강우로 표현했다. 자연 상태의 구름에 요오드화은이나 드라이아이스를 뿌리면 비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도는 국외지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서해안으로 접근할 경우 인공증우를 내리면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양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 상반기께 서해 인근의 일부 지역을 미세먼지 프리존으로 지정해 인공강우와 먼지 포집, 드론활용, 대형 실외용 공기청정기 설치를 비롯한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미세먼지 프리존은 공모절차를 통해 선정되며 선정된 지역에는 연구에 필요한 기본 인프라 외에 전기차 보조금 확대, 충전소 집중 설치 등 다양한 친환경 인프라가 집중 지원된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그동안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전문가들과 많은 토론을 거쳤지만 현실적으로 국외에서 넘어오는 미세먼지를 해결하지 않으면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경기도가 인공 증우 등 다양한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연구·적용해 보고 잘 되면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