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지진 진앙 위치 잘못 분석

기상청이 지난 12일 경북 경주에서 일어난 한반도 최대 규모 지진의 진앙 위치를 잘못 분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기상청은 22일 경주 지진에 대한 중간상황 정책브리핑에서 “지진 정밀 분석 결과, 지난 12일 5.8 규모 본진은 5.1 규모의 전진이 일어난 곳보다 남쪽으로 수백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는 초기 분석 결과로 발표한 내용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12일에는 전진과 본진의 위치를 각각 경주 남남서쪽 9㎞, 남남서쪽 8㎞라고 밝힌 바 있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수 분 내에 결과를 발표해야 해 시급을 다투다 보니 초기 분석에 잘못이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상청은 첫 5.8 지진이 난 뒤 일주일이 지난 19일 밤 규모 4.5의 여진 발생 당시에도 오류를 바로잡지 않았고, 기상청 홈페이지에도 현재까지 잘못된 정보가 기록돼 있다.

 

당시 같은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는 1차 지진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진이 전진보다 남쪽에서 발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지진센터는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여진이 점차 남하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결론을 내렸다. 

지헌철 지진센터장은 “여진이 남남서쪽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여기서 멈출지 아니면 계속 남하할지는 알 수 없다”면서 “여진이 수개월 이상 계속되겠지만, 지진의 지속시간이 짧은 단층 구조상 5.5 규모 이상의 지진은 나기 힘들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기상청도 이날 수정한 정밀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경주 지진이 남남서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