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종합장애인회관 설립 ‘첫발’

타당성 용역조사 착수… “장애인 단체 의견 충분히 수렴”

장애인에게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경기지역 장애인회원단체 간의 연계를 도모할 수 있는 ‘종합장애인회관’ 설립이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본보 4월25일자 7면) 이후 경기도가 종합장애인회관 설립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앞서 본보는 편의시설이나 교육공간 부족, 운영난 등 각종 어려움을 겪는 도내 장애인 회원단체를 위해 종합장애인회관의 설립 필요성을 지적했다. 

종합장애인회관은 장애인들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공간과 회원 단체의 업무용 공간 등이 갖춰진 시설로 장애인들을 위한 실질적인 복지서비스의 연결고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2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21일 도내 종합장애인회관 설립을 위해 5천만 원의 예산을 투입, 타당성 용역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오는 2017년 2월 마무리되며 만일 설립이 결정되면 부지선정과 예산 확보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앞서 도내 장애인 회원단체들은 지난 2006년 도민 15만명 서명 사업을 시작으로 회관 설립 추진에 나섰지만, 추진위원장을 맡았던 故김광성 도의원이 사망하면서 현재까지 이렇다 할 결과를 이루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이들은 열악한 시설에서 운영될 수밖에 없었다. 실제 수원시 장안구에 위치한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는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경사로 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1985년 4월 준공된 30년 넘는 건물에 입주, 장애인 혼자서는 휠체어를 타고 사무실로 들어갈 수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또 도내 13개 유형별 장애인 회원단체의 공통과제를 수행하는 ‘경기도장애인회원단체연합회’도 매달 단체장들이 모여 회의를 하지만 사무실 내 회의실이 없어 불편이 매번 반복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그동안 회관설립에 대한 요구가 계속돼 타당성 용역조사를 시작했다”면서 “이제 막 시작한 단계라 구체적 사항은 없지만, 앞으로 타 시·도 사례들을 참고하고 장애인 단체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