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기차 충전소 확대 ‘시동’

민간 업체와 간담회… 부지발굴·위치서비스 제공 논의

경기도가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확대하기 위해 민간 전기차 충전소 업체들과 간담회를 가지며 전기차 공급 확대에 본격적 시동을 걸었다.

 

도는 지난 21일 발표한 ‘알프스 프로젝트’ 중 전기자동차 공급 확대를 추진하기 위해 민간 전기 승용차 충전소 공급업체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포스코ICT’ 등 3곳을 대상으로 22일 경기도청 환경국장실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알프스 프로젝트는 2015년 연간 4천400t(PM10기준)인 미세먼지 배출량을 2020년까지 현재의 1/3수준인 연간 1천500t으로 감축하는 내용을 담은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이다.

 

이번 간담회에서 경기도와 3개 민간업체들 도내 전기충전소의 빠른 확산을 위해 전기충전소 부지 발굴과 도내 3개사의 전기충전소 위치를 취합해 도민에게 전기충전소 위치서비스 제공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위해 도는 도민의 접근성과 교통반경, 전기차 3~4대 가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 등을 고려한 공공부지를 발굴해 민간 업체에 제공할 예정이며, 민간 업체는 도내 전기충전소 위치를 취합해 도에 제공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전기충전소 확장을 위해 무료로 공공부지를 제공하거나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 차원에서 전기충전소를 확장하는 것은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며 “민간 업체에서 충전소를 확장하는 것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라 판단해 이들의 전기충전소 확장을 위해 도가 행정적으로 도와줄 것이 있으면 도와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도에는 공공충전소가 56개 있다.

 

한편 도는 전기자동차 공급 확대뿐 아니라 도내 1천200개 영세공장의 노후 대기오염 방지시설 개선을 추진하기로 하고 미세먼지를 만들어내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유발하는 화학제품제조업과 백연(유증기)을 만들어내는 섬유ㆍ염색업 등 400개 사업장에 320억 원을 투입,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미세먼지가 가장 많은 봄철엔 분진흡입차, 고압살수차 등 도로 먼지제거 차량 100대를 신규로 구입해 봄철 먼지가 많은 도로에 집중 투입, 1일 2회 이상 운행해 미세먼지를 집중적으로 줄일 예정이다. 

이 밖에도 정확한 경보시스템 마련을 위해 미세먼지측정소를 늘리고 초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PM2.5측정기도 추가 설치한다.

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