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 10명 중 4명이 발암물질 등 고독성물질 취급사업장 주변 1마일(1.6㎞)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칫 독성물질 누출 사고 발생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우려된다.
27일 노동환경연구소와 (사)일과 환경이 공동으로 조사한 ‘전국 발암물질 위험인구’에 따르면 인천에는 환경부가 고독성물질을 배출하는 곳으로 확인된 사업장 98곳이 있다. 이들 고독성물질 배출 사업장의 반경 1.6㎞에는 117만7천335명의 시민이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기준 인천시민 280만명을 기준으로 하면 42%에 달하는 시민이 고독성물질 배출 사업장 주변에 사는 셈으로,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다. 전국 두 번째인 대구는 26.4%는 물론 3~4번째인 경상남도 19.5%, 충청북도 18.5% 등 보다 두배가 넘는 높은 비율이다. 전국 평균 14.6%보다도 3배나 높다.
특히 지역별로는 동구가 가장 심하다. 동구는 주민 10명 중 9명이 고독성물질 취급사업장 인근에 살고 있다. 7만8천여명의 주민 중 무려 7만1천여명이다.
부평구는 56만여명의 인구 중 35만여명(62.4%)이, 서구도 43만여명 중 26만여명(61.4%)에 달하는 등 인구 절반 이상이 고독성물질 취급사업장 인근에 살고 있다. 연수구도 주민 28만여명 중 14만여명(49..3%)이, 남구는 41만여명 중 18만여명(43.7%) 등이 해당한다. 나머지는 계양구(26.3%)와 중구(25.5%), 남동구(9.8%) 순이다.
이와 관련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병원 의원(더민주·서울은평을)은 “과거 구미와 삼성전자 불산 누출 사고 때 반경 2㎞까지 은행잎이 마르거나 불산이 검출됐다. 인천은 누출사고 시 대형 인명피해가 날 가능성이 크다.”면서 “당장 이들 업체의 고독성물질 배출에 대한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