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드레퓌스 사건으로 찾는 정의로운 사회 구현법

▲ 표지-프랑스 지식인의 세계
▲ 표지-프랑스 지식인의 세계

프랑스 드레퓌스 사건으로 찾는 정의로운 사회 구현법

프랑스 뮐즈에서 태어난 유대인 드레퓌스(1859~1935년)는 포병 대위로 근무 중 1894년 독일대사관에 군사정보를 팔았다는 혐의로 체포, 비공개 군법회의에서 종신 유형 판결을 받는다. 문제는 관련 서류의 필적인 드레퓌스의 것과 비슷하다는 것 외에 확증이 없는 상태에서 ‘유대인 혐오’가 빚은 비극이라는 지적이었다. 더욱이 진범 관련 확증을 확보하고서도 군 수뇌부가 진상 발표를 거부한 채 은폐하려 들었다. 재심 청구에 나선 드레퓌스의 가족들은 진상을 탐지, 1898년 진범인 헝가리 태생의 에스테라지 소령을 고발하지만 무죄 석방됐다.

 

재판 결과가 발표된 직후인 1898년 소설가 에밀 졸라가 ‘오롤’지에 군부를 비판하는 논설 <나는 고발한다(J‘Accuse)>를 발표하면서 완전히 다른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간첩 혐의를 뒤집어쓴 드레퓌스 대위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놓고 프랑스 지식인계가 크게 둘로 나뉘어 격돌하는 시작점이 된 것이다.

 

당시 비주류에 속한 지식인들은 신문을 통해 사회정의와 인간의 권리를 내세우며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고 재심을 요구했지만, 주류 지식인들은 반드레퓌스파는 국가의 안보와 군대의 권위를 우선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끝내 1906년 최고재판소로부터 무죄판결을 받은 드레퓌스는 복직 후 승진도 했다.

 

<프랑스 지식인의 세계-문학, 정치, 저널리즘>(여울목 刊)을 펴낸 임종권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는 이 사건 속 비주류 지식인을 ‘기성세대에게 도전하며 새로운 사회를 열고자 한 혁신적인 운동가’로 정의한다. 저자는 저자는 프랑스 지식인과 저널리즘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프랑스 제3공화국 정치세력 : 우파와 가톨릭교회>, <현대 프랑스 저널리즘에 기원과 특징>, <19세기 파리노동자들의 생활상> 등이 있다.

 

책은 프랑스의 국가 정체성 확립 과정, 지식인들의 주 활동무대인 저널리즘과의 상관관계, 문학과 정치를 통한 프랑스 지식인들의 참여와 영향 등을 살핀다. 이를 토대로 프랑스 대혁명만큼이나 중요한 사건임을 강조, 프랑스 저널리즘이 압력에 굴하지 않고 자유로운 비평을 할 수 있는 계기로 평가한다.

 

무엇보다 저자의 바람이 책을 들게 한다.

 

“개인의 이익만을 위해 복종과 순종하는 사람들이 넘쳐나는 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지에 대한 해답을 이 책에서 찾기를 기대한다.” 값 3만5천원

 

류설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