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의원, 산자부 국감서 “포천석탄발전소 전면 재검토해야”

국회 산자위 소속 박정 의원(더민. 파주을)이 27일 오후에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감에서 “포천장자산업단지 내 GS E&R이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는 행정절차의 위법성, 열 수요 예측의 문제점, 용수공급에 대한 포천시청의 허위 공문서 작성 등 석탄발전소 사업에 대해 허가와 관련된 행정 행위의 취소사유가 있다”며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해 석탄발전소 건설 문제가 국회로 번져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28일 박 의원에 따르면 당초 2011년 포천시는 경제적 이유로 사업자 측과 협의가 무산되자 주연료를 LNG에서 석탄으로 변경하고, 사업자도 STX에서 GS로 변경해 지난해부터 공사가 진행되면서 지역 주민들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박 의원은 “석탄화력발전소는 대부분 해안가 주변에 위치하고 있지만, 포천석탄발전소의 경우는 내륙분지에 위치하고 있고, 수입 석탄을 항구에서 100Km이상 떨어진 내륙지역에 트럭을 이용해 석탄을 운반하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며 “포천시는 공장이 많이 밀집돼 있는 인천 남구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대기질이 좋지 않은 지역으로 석탄화력발전소가 건설되면 포천시의 대기질은 더욱 악화될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또 “석탄을 원료로 사용한 100%의 스팀 중, 산업단지 내 업체에 공급하기 위한 (30%)것보다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스팀의 양(70%)이 많다면 집단에너지시설이 아니라 석탄화력발전소가 맞다”며 “포천에 석탄화력발전소와 염색공장, 피혁공장들이 들어서서 오염물질을 배출하게 되면 경기북부 수계의 최상류지역의 임진강 수질이 악화되고, 경기북부의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공급에 막대한 영향은 물론, 동두천, 연천, 양주, 파주 등 경기북부지역 모두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