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부채 심각…경기도 평균 4천500만원, 전년 대비 11% 상승

가계부채가 사회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농가 부채 역시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지역 농가부채는 전국 평균보다 67%나 높아 농가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국민의 당 황주홍 의원(전남 고흥ㆍ보성ㆍ장흥ㆍ강진군)에 따르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 농가의 호당 부채는 2천700만 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경기지역 농가부채는 4만5천653원으로 호당 부채가 가장 높은 제주도(6천185만 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지난해 전체 농가의 부채(29조 6천만 원)가 전년보다 5.4% 감소한 것과는 달리 경기지역의 농가부채는 전년(4만999원)보다 11.4%나 증가했다.

제목 없음-1.jpg

경기지역 다음으로 호당 농가부채가 높은 곳은 전북(2천489만 원), 전남(2천358만 원), 경남(2천173만 원), 충남(2천167만 원), 경북(1천752만 원), 충북(1천250만 원) 순이었다. 영농 형태별로는 축산농가의 부채가 7천148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화훼농가 6천117만 원, 과수 2천907만 원, 채소 2천110만 원 등으로 집계됐다.

 

농가부채는 나이가 젊은 농가일수록 높았다. 지난해 기준으로 39세 이하 농가의 부채는 7천557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6천189만 원, 50대 5천451만 원, 60대 2천777만 원, 70세 이상 1천252만 원 순으로 집계돼 39세 이하의 부채가 전체 나이 평균의 부채보다 2.8배나 높았다. 황 의원은 “정부가 나서서 농가부채 해결을 위한 종합계획과 단계적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