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을 위해 대출을 받았다가 이를 갚지 못하는 청년들의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성남 분당갑)이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청년전용창업자금 약정해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공단에서 창업자금을 대출받은 뒤 이를 상환하지 못해 약정이 해지된 건수는 80건이었다. 하지만 2015년의 경우 2년 만에 221건으로 약 2.7배 늘어났다.
이로 인한 미상환금액은 2013년 44억 원에서 2015년 124억 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반창업자금 대출 이후 미상환 건수는 399건에서 668건으로 1.7배가, 미상환 금액은 1천67억 원에 비해 1천398억 원으로 1.3배 늘어난 것에 비해 청년창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김 의원은 “정부가 청년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계획으로 창업을 강조하면서 창업준비단계에 대한 고민 없이 손쉬운 대출로 청년들을 빚더미로 몰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