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국군 사이버사령부 백신서버, 지난달 해킹당해"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백신 서버가 지난달 해킹당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국군 사이버사령부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맞서 우리 군의 사이버 작전을 총괄하고 있는 기구로,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은 2일 국군 사이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답변서를 공개하면서 “육·해·공 부대의 인터넷 접속용 컴퓨터의 보안을 담당하는 사이버사령부의 ‘백신 중계 서버’가 해킹당했다”고 밝혔다.

 

사이버사령부는 답변서에서 “중계 서버의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식별했다”면서 “추가적인 위협의 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고자 서버의 네트워크를 분리했다”라고 적시했다.

 

백신 중계 서버가 연결된 일선 부대의 컴퓨터는 약 2만여 대지만 이 서버는 컴퓨터의 국방 인트라넷(내부망)이 아닌 외부 인터넷을 접속하는 인터넷망에만 연결돼 있다.

 

김 의원은 “군의 작전과 관련된 기밀정보는 반드시 인트라넷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이번 해킹으로 기밀정보가 흘러나갔을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군 당국이 밝혔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최근 해킹 기술이 매우 발달해 있고, 2만여 대의 컴퓨터에 백신네트워크가 연결된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군 당국이 일단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국군사이버사령부는 최근 군 인터넷망에 악성코드가 유입된 정황을 포착하고 유입경로 등을 조사 중”이라면서 “군 인터넷망은 현재 정상 운영 중에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