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가계대출 58조원으로 급증…정부 종합 관리 나서기로

은행이 주택담보대출의 소득심사를 강화하면서 ‘풍선 효과’로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수요가 50조 원을 넘어서자 정부가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상가나 오피스텔 등의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춰 대출 증가세를 막고 새마을금고 대출에 대한 분할상환 추진 등 구조 개선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자치부는 단위 금고의 주택담보대출 질적 구조개선과 비주택담보대출ㆍ집단대출 관리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관리 대책을 3일 발표했다. 

행자부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새마을금고의 전체 대출잔액은 83조8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8조9천억원(11.9%)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가계대출은 58조1천억 원으로 올해 들어서만 6조5천억 원(12.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은행권보다 LTV를 높게 적용하는 비주택담보대출은 8월 말 40조6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7조1천억 원(21.2%) 급증해 부실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행자부는 주택담보대출은 차주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하고, 분할상환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로 했다. 8월 말 현재 9.95%인 분할상환 비율을 내년에는 15%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토지와 상가, 오피스텔 등을 담보로 하는 비주택담보대출은 현재 50∼80%로 적용되는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기로 했다. 32개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비주택담보대출 운영 실태조사도 진행한다.

 

담보평가 방식과 LTV 적용, 채무상환능력평가 적정성 등을 현장 점검하고, 비주택담보대출 역시 기존 대출 금리가 4.0%이면 분할상환 적용 시에는 3.9%로 내리는 등 분할상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