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안전행정위원회가 오는 5일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예산·정책 국감보다 대권 잠룡인 남경필 도지사를 검증하는 ‘대권 국감’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3일 안행위에 따르면 국감이 정상화되면서 4일 서울시부터 시작되는 지자체 국감을 예정대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공교롭게도 4일 서울시 국감과 5일 경기도 국감은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 대권 잠룡인 박원순 서울시장와 남 지사가 잇따라 등장한다.
지난해 서울시 국감에서는 박 시장 아들의 병역문제 등을 놓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였고, 경기도 국감에서는 남 지사의 ‘연정’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국감은 20대 총선 이후 첫 국감이어서 지난해와는 자못 다른 분위기가 될 전망이다.
특히 5일 경기도 국감에서는 ‘연정’ 뿐만 아니라 수도 이전과 모병제, 핵무장론 등 남 지사가 잇따라 제기한 굵직한 이슈를 놓고 여야 의원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남 지사는 최근 국회상황에 대해서도 정의화 국회의장이 “중립성을 훼손했다”고 비판하면서, 새누리당 ‘국감 보이콧’ 당론에 반기를 들었던 김영우 국방위원장(3선, 포천·가평)을 추켜세우며 징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정 의장 비판은 야당의원들에게 공세의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고, 김 위원장을 추켜세운 것은 새누리당 친박(친 박근혜)계를 자극하는 것이어서 여당 의원들에게도 화살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일 강득구 연정부지사 취임과 함께 시작된 경기도의 2기 연정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평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지난해 19대 마지막 안행위 국감에서는 도내 의원 중 좌장격인 새누리당 서청원(화성갑)·더민주 문희상 의원(의정부갑)이 연정에 대해 중량감 있는 훈수를 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올해 안행위 국감에는 여야 초재선 의원이 많아 날카로운 공방이 예상된다.
도 공무원들의 공직기강 문제와 인사 문제, 남북간 지역격차, 지진대책 등 안전문제, 접경지역 발전 방안 등도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안행위에는 새누리당 홍철호 도당위원장(재선·김포을)과 박순자 의원(3선·안산 단원을), 더민주 김영진(초선·수원병)·김정우(초선·군포갑)·백재현(3선·광명갑)·소병훈(초선·광주갑)·표창원 의원(초선·용인정) 등 여야 도내 의원 7명이 소속돼 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