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 서비스 계획 ‘편의점 캐시백 서비스’, 위험성과 대안은?

금융감독원이 시범 운영 계획을 밝힌 ‘캐시백 서비스’가 도입 전부터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편의점의 현금 보관에 따른 보안 문제, 수수료의 적절성, 대형 업체들의 참여 거부 등 여러 문제점이 노출됐기 때문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고객이 체크카드나 현금 IC카드로 편의점에서 상품을 사면서 카드와 연결된 은행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캐시백 서비스를 이번 달부터 일부 편의점에서 시범 운영한다. 금감원은 캐시백 서비스로 수수료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내년 1분기에 본격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서비스가 도입되면 편의점들은 상당한 양의 현금을 보유해야 하는데 도난, 분실, 강도 등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다. 지금도 편의점은 강도 등의 강력 범죄에 취약한 실정인데 현금 보유량이 늘어나면 보안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한 편의점 업주는 “편의점의 특성상 혼자서 매장을 지키는 데 사고 걱정이 앞선다”며 “대부분 편의점에 ATM 기계가 설치돼 있는데 왜 굳이 캐시백 서비스를 도입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현금을 찾을 때 내야 하는 수수료도 저렴하다고 볼 수 없다는 지적이다. 반드시 물건을 구입해야만 캐시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다 앞서 이 서비스를 도입한 호주 등 외국과는 달리 900원의 추가요금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편의점 업계에서 1ㆍ3위로 전체 시장점유율의 70%를 차지하는 CU와 세븐일레븐이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서비스 활성화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금감원이 CCTV를 추가로 설치하고 보안업체 출동서비스를 지원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논란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핀테크 등이 주목받는 상황에서 현금사용을 독려하는 정책은 시대 흐름에 역행한다”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