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 중심으로 말라리아 환자 다시 증가

제목 없음-1 사본.jpg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말라리아 환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9일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말라리아 환자는 2011년 826명에서 점차 감소하다 2014년 638명, 2015년 699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특히,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국내 발생 말라리아 환자는 총 3천150명인 가운데 경기도가 1천489명(52.8%)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이 557명(19.7%)으로 뒤를 이었다. 경기·인천에서 발생하는 말라이아 환자(2천46명)가 전체의 65%를 차지하는 것이다.

 

비무장지대(DMZ) 인근에서 생활하는 군인과 민간인이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파주 374명, 김포 156명, 고양 덕양 138명, 양주 135명, 연천 109명, 인천 강화 196명, 인천 서 97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표 참조

 

한편 군사법원 제출 자료에 따르면 군대 내 말라리아 환자는 5년간 총 1천179명이 발생했으며 ‘말라리아’를 이유로 총 122명이 국가배상을 신청해 이중 106명에 대해 1억2천795만원의 배상금을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도 5월까지 7명에 대해 770만원의 배상금을 지급했다.

 

금 의원은 “말라리아 환자가 자주 발생하는 비무장지대 주변 군인과 민간에 대한 방역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환자 발생 시 역학조사와 완치조사, 재발방지를 위한 민·관·군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