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시대를 이끄는 지방공무원 3명 중 1명은 여성공무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3자녀 이상을 둔 공무원에게 인사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출산율을 높이는 데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임산부의 날(10일)을 맞아 지방여성공무원과 관련한 다양한 통계수치 및 각 자치단체의 출산장려 대책 등을 소개했다.
우선 지난 6월 기준 전국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은 총 10만 1천5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공무원 29만 7천316명의 34.1%로 전체 지방공무원 3명 중 1명이 여성인 셈이다. 공무원의 합계출산율은 1.40으로 전체 국민의 합계출산율인 1.24에 비해 높다.
자치단체 전체 공무원의 평균 자녀 수는 1.90명이고, 시ㆍ도별로는 제주도가 2.11명으로 높았다. 그다음으로 전남(2.07명), 전북(2.05명)이 2.0명을 돌파해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1.80)이 가장 낮았다.
또한 2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77.1%에 달하여 첫째 자녀가 있는 경우, 대부분이 2명 이상의 자녀를 낳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가 3명 이상 되는 다자녀공무원도 2만 3천232명으로 전체의 12.1%를 차지했다.
자치단체 전체 공무원 중 남성공무원은 84.1%가 결혼했고, 여성공무원은 67.8%만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하지 않은 남성공무원이 15.9%인데 반해 결혼하지 않은 여성공무원은 남성의 2배가 넘는 32.2%였다.
연령별로는 20~30세까지의 미혼비율이 89.7%나 돼 대부분 공무원들은 30대 이후에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주요 출산장려 및 모성보호 관련정책을 육아휴직제도, 모성보호시간도입, 육아휴직에 따른 업무대행지정, 시간선택제 근무전환, 특별휴가제도, 유연 근무제도 등을 통하여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자치단체별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는데 17개 시ㆍ도 가운데 9개 시ㆍ도에서 출산공무원 및 다자녀 공무원에게 인사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었다.
전남, 경기도는 각각 9개, 11개 시ㆍ군ㆍ구에서 출산공무원 및 다자녀공무원에 대해 0.2점~2점 이내 근무성적 가점을 부여하고 있다.
채홍호 자치제도정책관은 “저출산 문제가 국가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우려가 되는 만큼 정부에서 선도적으로 저출산 해소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정책이 확산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지속적으로 출산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