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23일 vs 9월28일 ‘경기도민의 날’ 이견

도민의 날·도민헌장 제정 심의위

경기도가 ‘경기도민의 날’과 ‘경기도민 헌장 제정’ 작업에 본격 착수한 가운데 경기도민의 날 결정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11일 경기도청에서 ‘경기도민의 날 및 경기도민헌장 제정 심의위원회’를 열고 6월 23일과 9월 28일을 놓고 의견이 대립했다.

 

경기도민의 날 제정은 경기도의회 박재순 도의원(새누리당ㆍ수원3)이 지난 3월 조례안을 발의했으나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지난 4월 조례안이 안전행정위원회에서 보류됐다.

 

이날 회의에는 경기도의회 박재순 도의원을 비롯, 경기도 자치행정국장과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민회,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각계 전문가 15명이 참여, 경기도민의 날 결정을 두고 ‘갑론을박’을 벌였다.

경기도민의 날을 6월 23일로 주장한 전문가들은 “1967년 6월 23일, 서울 중앙청 앞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에 마련된 새 청사로 이전한 날이다”라며 “이는 1910년 일제에 의해 도청이 수원에서 서울로 이전된 후 다시 경기도에 도청이 들어서면서 서울과 구별된 경기도 고유의 정체성을 새롭게 한 날로 의미가 깊다”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9월28일을 주장하는 이들은 “1946년 9월28일 미군정에 의해 경성부에서 경기도와 서울이 분리된 날”이라며 “경기와 서울이 완전히 분리되면서 경기도의 정체성이 더욱 뚜렷해진 날”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경기도의 날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박재순 의원은 발의 배경에 대해 “다른 시도는 각자 기념의 날이 있지만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가 없다”며 “곧 천 년을 앞두고 있는 경기도가 생일이 없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라 조례안을 발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늦어도 이번 11월 정례회의 때 까지는 마무리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